필리핀 경제동향 (5)
1. 필리핀 경제개관
❏ 필리핀 경제는 2014년 4/4분기 6.9% 성장에 힘입어 2014년 전체 6.1% 성장률을 기록, 1인당 GDP는 2,849불
❏ 필리핀 정부는 필리핀 경제가 2014년 4/4분기 기준 아시아 지역내에서 중국(7.3%), 베트남(7.0%)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발표
ㅇ 단, 2014년 전체 기준으로는 필리핀 경제가 아시아 지역내에서 중국(7.4%)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성장률(6.1%)을 기록
《출처:필리핀 중앙은행》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GDP |
1,996억불 |
2,241억불 |
2,502억불 |
2,721억불 |
2,846억불 |
성장률 |
7.6% |
3.7% |
6.8% |
7.2% |
6.1% |
※ 총 GDP 대비 산업별 비중
- 서비스업 57%, 광공업 33%, 농업 10%
※ 외국 신용평가기관들은 최근 4년간 필리핀 경제에 대해 20여 차례에 걸쳐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신용등급을 상향 조정
- S&P : BBB (stable), Fitch : BBB- (stable), Moody's : Baa3 (positive)
※ 2014년 세계경제포럼(WEF) 경쟁력 평가에서 2010년 대비 33단계 상향조정(144개국 중 52위)
2. 필리핀 교역통계
❏ 2014년 주재국 총교역액은 1,275.3억불
ㅇ 총 수출액은 618.1억불로 전년 동기 대비 9% 증가, 수입은 639.3억 불로 전년 대비 2.4% 증가, 무역적자는 21.1억불로 전년 대비 대폭 감소
《단위:억불, F.O.B.기준 / 출처:필리핀 통계청》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총교역액 |
815.3 |
1,064.3 |
1,081.8 |
1,142.3 |
1,191.1 |
1,257.3 |
수 출 |
384.4 |
515.0 |
480.4 |
521.0 |
567.0 |
618.1 |
수 입 |
430.9 |
549.3 |
601.4 |
621.3 |
624.1 |
639.2 |
무역수지 |
△46.5 |
△34.3 |
△121.0 |
△100.3 |
△57.1 |
△21.1 |
3. 대필리핀 외국인 투자 동향
❑ 2014년중 대 필리핀 외국인 순직접투자액은 약 62.0억불로서 전년 동기 대비 약 66%증가(2013년 전체 대 필리핀 외국인 순직접투자액은 약 38.6억불)
《단위:백만 미불, / 출처:필리핀 중앙은행》
❏ 2010-2013년간 연평균 외국인 순직접투자액이 약 25.4억불인 것을 감안할 때 2014년중 대 필리핀 외국인 투자는 괄목할만한 증가세 시현
ㅇ 필리핀 중앙은행은 2014년도 외국인 투자 증가 요인으로 거시경제 펀더멘털의 안정성 및 견고한 경제성장 전망을 제시
❏ 분야별로는 ▲금융 및 보험(9.89억불), ▲제조업(2.67억불), ▲부동산(1.5억불), ▲도소매업(0.98억불), ▲수송(0.9억불) 등
※ 대 필리핀 외국인투자 환경
- 장점 : △ASEAN 및 동아시아 국가와 지리적 인접성, △외국문화에 대한 개방성, △영어구사 젊은 인력 풍부(중간연령 23.3세), △주변국에 비해 안정된 인건비 상승률 등
- 투자 저해 요소 : △열악한 인프라, △높은 전기료, △외국인의 토지소유 금지 및 일정 업종에 대한 지분제한 제도, △까다로운 투자절차 △부패 관행 등
4. 필리핀 환율 동향
❏ 2014년 페소화 평균 환율은 44.61페소/USD
《단위:페소/USD / 출처:필리핀 중앙은행》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환율 |
47.64 |
45.11 |
43.31 |
42.23 |
42.45 |
44.61 |
5. 필리핀 예산 동향
❏ 2015년도 필리핀 정부 총예산 규모는 2.606조 페소(약 592.3억불) (전년 대비 15.1% 증가)
《단위:조 필리핀 페소, ( )는 증감률 / 출처:필리핀 예산관리부》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
총 예산 |
1.473 (2.7%) |
1.580 (7.3%) |
1.829 (15.8%) |
1.9984 (9.3%) |
2.2646 (13.4%) |
2.606 (15.1%) |
GDP 대비 비중 |
16.4% |
16.3% |
17.3% |
17.3% |
17.7% |
18.4% |
※ 2014년말 기준 필리핀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은 약 36.4%
6. 필리핀 해외근로자 송금 동향
❏ 2014년 필리핀 해외근로자 국내 송금액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 전년 대비 6.2% 증가한 269억불 기록
《단위:억불, ( )는 증감률 / 출처:필리핀 통계청》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송금액 |
190.7 |
205.6 |
219.2 |
233.5 |
253.5 |
269.0 |
증가율 |
5.6 |
7.8 |
6.6 |
6.5 |
8.6 |
6.2 |
❏ 필리핀은 중국, 인도, 멕시코 등과 더불어 세계 4대 해외 인력 송출국
ㅇ 해외근로자(Overseas Filipino Workers: OFW)들은 전체 필리핀 인구의 10%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
ㅇ 필리핀의 해외 인력 송출은 △풍부한 영어구사 인력, △높은 국내 실업률, △정부의 정책적 지원 등이 주요 배경
❏ 해외근로자들의 국내 송금액은 전체 국가 GDP의 약 8.5% 이상을 차지하며, △내수경기 활성화, △외환보유고 유지 및 △경제성장에 기여
ㅇ 필리핀 중앙은행은 2014년중 해외근로자 송금 증가의 주요 요인이 장기 계약 근로자 송금액 증가에 있는 것을 감안시 향후에도 해외근로자 송금액은 지속 증가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해외근로자들의 주요 송금 국가로는 미국, 사우디, UAE, 영국, 싱가폴, 일본, 홍콩 및 캐나다
7. 필리핀 BPO 산업
❏ BPO 분야 종사자는 2015.1월 현재 1.052 백만명 상회, 2016년까지 매출액 250억불 및 1.3백만명 고용 목표
ㅇ 수년 내 BPO 산업 매출액이 전체 GDP의 10%에 이를 것으로 예측
※ 필리핀은 △풍부한 영어구사 노동력, △저렴한 인건비, △정부의 정책적 지원 등을 바탕으로 2010년 인도를 제치고 “콜센터의 천국”으로 자리매김하면서 BPO(Business Process Outsourcing) 산업 최적의 투자지로 부상
8. 2015년도 필리핀 경제전망
가. 필리핀 정부
❏ 필리핀 정부 개발예산조정위원회(Development and Budget Coordination Committee)는 2015년도 GDP 성장률 목표치를 7-8%로 유지
ㅇ 필리핀 정부는 △국내경제전망에 대해서는 긍정 평가, △다만, 중국, 일본 및 유로 지역내 경기둔화, 페소 대비 달러화의 강세 등 대외 요인에 대한 고려로 기존 목표치를 유지
❏ 한편, 2016년도 GDP 성장률 목표치는 당초 7.5-8.5%에서 7-8%로 하향 조정
ㅇ 동 하향조정 이유로 △지속적인 원유가격 하락으로 인한 정부재정 수입 감소, △주요 예산지출 부처의 예산집행상 차질 등을 제시
❏ 필리핀 중앙은행은 페소화의 약세 가능성하에서도 전반적으로 안정적(stable) 전망을 제시하면서, 기존 환율 전망(달러당 42-45 페소) 유지
ㅇ △지속적인 해외근로자 송금 유입, △BPO(Business Process Outsourcing)산업의 지속 성장, △관광 수입 증가, △국제신용평가사들의 신용등급 상향조정, △수출 실적 개선 등을 통해 페소화의 가치가 계속 지지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나. 여타 민간 및 국제기구
(1) 필리핀 상공회의소
❏ 필리핀 상공회의소(Philippine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PCCI)는 2015년중 7-7.2% 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전망
ㅇ 이와 같은 전망의 근거로 △AEC(ASEAN Economic Community)의 출범, △APEC 정상회의 개최, △수출 분야의 호조, △인프라 지출 증대 등을 제시
(2) 아시아 개발은행(Asian Development Bank)
❏ 아시아 개발은행(Asian Development Bank)은 필리핀 경제가 2015년 중 6.4% 성장 및 2016년에는 6.3% 성장할 것으로 긍정적 전망
ㅇ 이와 같은 전망의 근거로 △해외송금의 지속적인 증가 및 국내고용 증가를 통한 민간소비의 지속적인 강세, △물가의 안정, △2015년중 정부 재정지출 회복 가능성 등을 제시
ㅇ 인플레이션율 관련, ADB는 △건전한 경제지표, △유가 하락 등을 감안, 2015년중 인플레이션율은 2.8%로 하락 전망, 단 엘니뇨 현상 및 전력난 등 물가인상 압박요인도 상존함을 지적
ㅇ 2015년중 필리핀 경제성장의 도전요인으로 △인프라, △투자, △고용, △빈곤 등을 제시
- 투자 확대를 위해서는 △경쟁여건 개선, △규제 효율성 개선, △영업상 행정비용 감소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
(3) Moody's
❏ Moody's사는 2015년도 필리핀 경제성장률을 6.6%로 상향 조정(2014.9월 당초 Moody’s사는 2015년도 경제성장률을 5.5%로 전망)
ㅇ 금번 상향 조정에도 불구 Moody’s사의 경제성장률 전망은 정부 목표치에는 미치지 못하나, Moody’s 사는 금년중 필리핀 경제는 역동적인 가계 수요에 힘입어 지속 성장할 것으로 예측
ㅇ 또한, Moody’s사는 유가하락으로 인해 필리핀 경제가 추가적인 동력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
(4) Fitch사
❏ Fitch사는 2015년도 필리핀 경제성장율을 6.3%로 전망, 2016년 성장률은 6.2%로 전망
ㅇ Fitch사는 필리핀 경제성장의 근간으로 △필리핀 해외근로자 송금 및 △BPO(Business Process Outsourcing) 산업 성장을 지적.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