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P
지진에 대한 대처 요령과 인터넷정보; - 지진은 길어야 1분이내에 종료되므로 -멀리 대피하려 하지 말고 있던 장소에서 안전한 위치를 찾는다. -책임있는 사람의 지시에 따라 행동한다. -인화성 물건인 성냥, 라이터, 가스렌지, 석유제품, 석유곤로 등은 사용 하지 않는다. ※지진으로 인한 화재예방과 진압 -가스, 전선을 점검하고 파손되었다면 밸브를 잠근다. - 가스가 샌다면 문을 활짝 열어 놓고 즉시 현장을 떠나서 해당기관 에 신고한다. 화재시 대피요령 -화재 발견시 연기가 바닥에 자욱하게 깔려 있을 때에는 안으로 들어가면 위험하다. - 바닥에서부터 20cm정도는 공기가 남아 있으므로 바닥 가까이 납짝 업드려 자세를 낮춘다. -2층에서 뛰어 내릴 때는 이불, 요, 담요, 방석 등을 낙하지점으로 떨어뜨리고 그 위로 뛰어 내린다. - 옷에 불이 붙었을 때는 이리저리 도망 다니지 말고, 침착하게 담요로 몸을 감싸거나, 방바닥이나 마루바닥에 드러누워 뒹굴면서 손으로 두들겨서 끈다. *지진에서 무서운 것은 그 뒤에 2차적으로 발생하는 화재에 의한 피해이다. ※운전중인 때의 행동 -차량을 신속하게 평지나 지하차고로 대피시킨 후 차에서 떨어진 곳으로 대피해야 한다. *집이나 사무실 안에 있을 경우 -안에 그대로 있는다. -창문 가까운 곳을 피하고 -튼튼한 책상이나 테이블 밑으로 대피한다. -책상이 없을 때는 벽에 기대 서고 -목과 얼굴을 코트나 쿠션, 담요 등으로 보호한다. -참고로, 큰 지진 때 화장실로 대피한 가족이 물을 확보한 관계로 오랫동안 생명유지 후 구조된 사례가 있다함. -밖으로 나가기 위해 엘리베이터나 계단으로 달려가지 말아야 한다. -깨지거나 쓰러질 위험이 있는 창문, 유리, 약한 책장, 주변을 피한다. -침착하게 행동하며 뛰지 말고 걸어야 한다. -엘리베이터 안에 갇혔을 경우 모든 층의 버튼을 누르고 가능한 한 빨리 빠져 나온다. *밖에 있을 경우 -빌딩, 나무, 유리창, 전신주, 가로등이 없는 곳으로 대피한다. -빌딩이 많은 다운 타운 지역에 있을 경우 낙석을 피해 차 밑으로 숨거나 출입구(문간)쪽으로 대피한다. -쇼핑몰이나 도서관 등 인파가 많은 공공 장소에 있을 때는 문 쪽으로 몰려가지 말고 주변에 떨어질 물건이 많은 곳은 피한다. *차 안에 있을 경우 -차를 길 한쪽으로 세우고(전신주나 신호등, 나무 등이 없는 곳) 차 안에 그대로 있는다. -만일 교량이나 터널 속에 있다면 가능한 한 빨리 벗어난다. -다운타운 한복판에 차를 놔둔 채 빠져 나가지 말아야 한다. *지진이 멈춘 후 -가족 중에 부상자가 없는지 확인한다. -화재, 누전, 상하수도 파열 등이 발생한 곳이 없는지 확인한다. -보일러를 점검하고 가스관이나 수도관이 파열됐을 경우 밸브를 잠근다 (반드시 파열 또는 누수 현상이 확인됐을 때만 밸브를 잠근다.) -하수도관이 파열됐을 위험성이 있을 때는 화장실 변기물을 내리지 말아야 한다. -긴급 상황을 제외한 모든 전화 사용은 가능한 자제한다. -여진을 대비해 건물 내 균열된 곳을 점검하고 대비한다. -수돗물은 안전 확인이 끝날 때까지 끊여서 마신다. -라디오를 켜고 뉴스를 듣는다. *지진 대비 비상용품 -물(가족 1인당 12리터)과 물 정화제 -보온성이 있는 옷과 장갑, 모자 -바닥 느낌을 잘 감지할 수 있는 신발 -상하지 않는 말린 음식과 캔 음식 -손전등과 배터리(여분) -라디오 -양초와 성냥 -응급치료약품 -캔 따개, 코펠 등 취사도구 -소형 텐트, 담요, 침낭, 오렌지색 쓰레기 봉투 -현금, 동전, 신분증 -여벌 안경, 처방전, 유아용품(아기가 있을 경우) -연장과 덕트 테이프(가스관 밸브 잠글 때 사용) -비상용품을 넣어 둔 가방은 집 출구 가까운 쪽에 항상 비치해둔다. -머리 보호용 가볍고 튼튼한 모자(헬멧)
에공에공....페북보니 죽은 사람만봐도 20이상 될겁니다! 집계가 틀려보여지네유...
포락 한인마트가있는 4층건물이 주저앉았는데 한인피해가 없다라...
정말 지진이 무섭네요. 국네에도 지진이 나지만 강도6을 넘어가는 강진은 없는데, 필리핀은 강하네요.
어느 한국인은 이번 지진으로 300명 사망 이라고 하는데 한국 뉴우스에서 필리핀 지진으로 초토화 랍니다 무서워서 필리핀 안간다고.
천재지변에 모든 분들 안전에 유의하십시오.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조심또 조심입니다
- 필
필리핀, 길거리서 남 험담하면 벌금? (15)
필뉴스조회 24,935레벨 10 - 필
화성시분회, 필리핀 '사랑의 의약품' 후원 (7)
필뉴스조회 16,940레벨 10 - 필
필리핀 고층 건물 화재, 소방차 100여 대 출동 (9)
필뉴스조회 22,335레벨 10 - 필
필리핀 홍역. 끝나지 않은 전쟁. (5)
필뉴스조회 20,492레벨 10 - 필
앙헬레스에서 도박사이트 운영한 한국인 2명 체포 (7)
필뉴스조회 25,732레벨 10 - 필
국민 혈세 13억으로 필리핀 반송 쓰레기 태워 (29)
필뉴스조회 35,771레벨 10 - 필
필리핀 상위 중소득국 진입 (15)
필뉴스조회 22,482레벨 10 - 필
두테르테 대통령의 선빵. 한국은 쓰레기 가져가는데, 캐나다는 ... (20)
필뉴스조회 30,063레벨 10 - 필
#WalangPasok - 2019년 4월 24일 학교 임시 휴교령 (9)
필뉴스조회 7,726레벨 10 - 필
필리핀 지진 사망자 16명으로 늘어 (10)
필뉴스조회 12,145레벨 10 - 필
필리핀 여성 34명 가수로 속여 입국…유흥업소 불법 고용 (17)
필뉴스조회 13,949레벨 10 - 필
필리핀 연속 이틀째 진도 6.3 과 6.5 의 고강도 지진 발생 (6)
필뉴스조회 11,783레벨 10 - 필
긴급 - 필리핀 내륙에서 진도 6.4 강진 발생 (11)
필뉴스조회 13,012레벨 10 - 필
필리핀, 출산휴가 연장법 통과 (4)
필뉴스조회 28,489레벨 10 - 필
필리핀 이민국 직원, 한국 교민에 1억9000만원 뜯어가 (23)
필뉴스조회 67,825레벨 10 - 필
현대제철, 필리핀서 임직원 봉사활동 (9)
필뉴스조회 23,824레벨 10 - 필
필리핀 의료진, H양지병원 방문·견학 (2)
필뉴스조회 17,146레벨 10 - 필
두테르테 대통령 가족 재산급증 논란 (12)
필뉴스조회 40,202레벨 10 - 필
필리핀서 무작정 떡뽁이 장사 (36)
필뉴스조회 84,610레벨 10 - 필
필리핀항공, 보라카이 다이렉트 크루즈 서비스 도입 (11)
필뉴스조회 35,220레벨 10 - 필
경북도지사, 필리핀 방문... "수출확대방안 등 전방위 광폭 행보" (4)
필뉴스조회 27,322레벨 10 - 필
한국 사상 최악의 산불 발생. 도시 전체를 삼켜. (65)
필뉴스조회 54,616레벨 10 - 필
불법체류로 붙잡힌 한국인을 풀어주는 조건으로 20만 페소 요구. (정정) (25)
필뉴스조회 37,264레벨 10 - 필
숭실사이버대 한국어교육학과, 필리핀 까인따 세종학당과 현장 실습 협약 (8)
필뉴스조회 21,497레벨 10 - 필
필리핀. 남중국 해 견제 위해 미국 첨단 로켓시스템 배치 논의. (5)
필뉴스조회 19,413레벨 10 - 필
안산 섬기는교회, 필리핀 중고등학생 초청 한국체험시켜줘 (10)
필뉴스조회 16,834레벨 10 - 필
필리핀 세계10대 불가사의(초콜릿 힐) (19)
필뉴스조회 23,612레벨 10 - 필
필리핀의 한국인 슈바이처. 고) 박누가 선교사 (8)
필뉴스조회 12,367레벨 10 - 필
필리핀 경찰. 14명의 농부들 사살 논란. (25)
필뉴스조회 22,792레벨 10 - 필
필리핀 납치 비지니스 장본인 김성곤 다시 필리핀으로 간다. (16)
필뉴스조회 12,716레벨 10 - 필
대통령 비판 레플러 언론사 대표 또 체포 (16)
필뉴스조회 11,251레벨 10 - 필
죽음의 덫. 필리핀 카지노서 한국인의 죽음 들. (41)
필뉴스조회 20,589레벨 10 - 필
필리핀 전쟁영웅. 부하살리고 순직. (20)
필뉴스조회 14,286레벨 10 - 필
아라우전우회, 필리핀 학생들에게 장학금 수여 (12)
필뉴스조회 12,101레벨 10 - 필
코맥스, 필리핀 마닐라 신공항·도시 방범체계 구축 (6)
필뉴스조회 7,237레벨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