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v style="font-size: 10pt;">epa02968362 A Filipino couple shares a meal on the roadside in Quezon City, east of Manila, Philippines, 16 October 2011. The United Nations marks World Food Day on 16 October with the theme, 'Food Prices - From Crisis to Stability.' The UN has called for mitigation in food price fluctuations, as data from the World Bank revealed that rising food costs pushed nearly 70 million people into extreme poverty in 2010 and 2011. EPA/ROLEX DELA PENA <br /> <div class="GS_conC" style="width: 500px;"> <p class="ph"><img src="http://i2.media.daumcdn.net/photo-media/201110/16/yonhap/20111016154417178.jpg" alt="" width="500" /></p> </div> </div>
<div style="font-size: 10pt;">epa02968359 A Filipino child eats rice with her hands outside a shanty in Quezon City, east of Manila, Philippines, 16 October 2011. The United Nations marks World Food Day on 16 October with the theme, 'Food Prices - From Crisis to Stability.' The UN has called for mitigation in food price fluctuations, as data from the World Bank revealed that rising food costs pushed nearly 70 million people into extreme poverty in 2010 and 2011. EPA/ROLEX DELA PENA <br /> <div class="GS_conC" style="width: 500px;"> <p class="ph"><img src="http://i2.media.daumcdn.net/photo-media/201110/16/yonhap/20111016154327844.jpg" alt="" width="500" /></p> </div> </div>
<div style="font-size: 10pt;">【서울=뉴시스】박준형 기자 = 필리핀에서 수 차례에 걸친 성형수술을 통해 슈퍼맨으로 완벽히 변신한 남성이 있어 화제가 되고 있다. <br /><br />15일 영국 일간 메트로에 따르면 필리핀의 허버트 차베즈(35)는 어린 시절부터 슈퍼맨을 우상으로 삼고 동경하며 살았다. <br /><br />차베즈는 자신의 우상과 닮기 위해 성형수술을 하기로 마음먹었고 1995년부터 본격적인 수술을 시작했다. <br /><br />코와 뺨, 입술, 피부, 턱, 다리 등을 수술한 것은 물론이고, 피부를 희게 하는 주사도 주입했다. <br /><br /> <div class="GS_conC" style="width: 466px;"> <p class="ph"><img src="http://i2.media.daumcdn.net/photo-media/201110/15/newsis/20111015060116966.jpg" alt="" width="466" /></p> </div> 슈퍼맨을 닮으려는 그의 노력은 그치지 않았다. 의상 디자이너인 그는 직접 슈퍼맨 의상을 제작했으며, 내면까지 슈퍼맨이 되기 위해 올바른 행동을 하려고 노력한다. <br /><br />그는 "슈퍼맨은 내 우상이다. 나는 슈퍼맨처럼 보이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br /><br />그는 이어 "슈퍼 히어로가 되기 위해 누군가와 이웃, 사회 생활에서 좋은 일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br /><br />하지만 그는 현재 모습에 만족하지 않는다. 앞으로 키를 더욱 크게 하기 위해 다리에 금속을 삽입하고 복부도 수술할 계획이다. <br /><br /><br /></div>
<div style="font-size: 10pt;">epa02965607 A Filipino meat vendor arranges his goods in a wet market in Quezon City, North East of Manila, Philippines on 14 October 2011. The world celebrates World Food Day on 16 October 2011 with the theme 'Food Prices--From Crisis to Stability.' According to the World Bank in 2010-2011 rising food costs pushed nearly 70 million people into extreme poverty. EPA/HANNAH REYES <br /><br /> <div class="GS_conC" style="width: 500px;"> <p class="ph"><img src="http://i2.media.daumcdn.net/photo-media/201110/14/yonhap/20111014141928655.jpg" alt="" width="500" /></p> </div> </div>
<div style="font-size: 10pt;">epa02965605 Dead fish and coins are seen on the working table of a fishmonger at a wet market in Quezon City, North East of Manila, Philippines on 14 October 2011. The world celebrates World Food Day on 16 October 2011 with the theme 'Food Prices--From Crisis to Stability.' According to the World Bank in 2010-2011 rising food costs pushed nearly 70 million people into extreme poverty. EPA/HANNAH REYES<br /> <div class="GS_conC" style="width: 500px;"> <p class="ph"><img src="http://i2.media.daumcdn.net/photo-media/201110/14/yonhap/20111014142043624.jpg" alt="" width="500" /></p> </div> </div>
<div style="font-size: 10pt;">epa02965608 Fish is seen for sale in a wet market in Quezon City, North East of Manila, Philippines on 14 October 2011. The world celebrates World Food Day on 16 October 2011 with the theme 'Food Prices--From Crisis to Stability.' According to the World Bank in 2010-2011 rising food costs pushed nearly 70 million people into extreme poverty. EPA/HANNAH REYES <br /><br /> <div class="GS_conC" style="width: 500px;"> <p class="ph"><img src="http://i2.media.daumcdn.net/photo-media/201110/14/yonhap/20111014142055377.jpg" alt="" width="500" /></p> </div> </div>
<div style="font-size: 10pt;"> <div style="font-size: 10pt;"> <div id="GS_swf_poll"> <div id="ad250"> <script type="text/javascript">// <![CDATA[ EXTENSIBLE_BANNER_PACK({secid:Media_AD250ID[0],dir:'RB'}); // ]]></script> <div id="EXTENSIBLE_WRAP"> <div id="EXTENSIBLE_BANNER_WRAP"> </div> </div> </div> </div> <!--// Poll 박스 GS_swf_poll--><!-- 기사 내용 news_content --> <div id="news_content" class="GS_font_0" style="font-size: 16px;"><!-- Generated by MEDIA-CIA-1.5.1 -->中, 베트남·인도 유전합작개발에 비난 <br /><br />필리핀, 분쟁·무분쟁 지역 분리해법 고수 <br /><br />(베이징=연합뉴스) 인교준 특파원 = 중국의 남중국해 해법이 다시 꼬이고 있다. <br /><br />중국은 최대 갈등 대상국인 필리핀과 베트남의 수뇌부를 초청하는 정상외교로 '중국식' 해법을 유도하려 했으나, 두번 모두 보기좋게 거절당하면서 남중국해 문제가 다시 복잡한 국면에 빠질 조짐이다. <br /><br />중국은 무엇보다 베트남의 권력서열 1위인 응웬푸쫑 공산당 서기가 11일부터 방중 일정에 들어간 가운데 인도와 베트남이 남중국에서 유전합작개발을 하기로 서명했다는 소식에 큰 충격을 받는 모습이다. <br /><br />쫑 서기의 방중을 계기로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남중국해 분쟁 해법을 찾아가자는 합의를 하던 와중에, 다른 한 편으로 베트남이 인도와 유전합작 개발 서명을 감행한 것은 전형적인 뒤통수 치기라는 항의성 목소리가 불거지고 있다. <br /><br />애초 중국은 쫑 서기의 방중을 계기로 베트남에 "미국 등의 제3국 개입을 배제하면서 당사국간 양자협의로 남중국해 분쟁을 해결하자"는 자국 해법을 유도하려했으나, 결국 헛물만 켰다는 지적이 나온다. <br /><br />남중국해의 시사군도(西沙群島.파르셀) 아래 베트남 근해인 127과 128 블록에 대한 합작 개발로 비(非) 당사국인 인도까지 남중국해 분쟁에 개입하게 된 탓이다. <br /><br />해당해역에 대해 베트남은 1982년 유엔해양협약에 따른 명백한 자국 주권 지역이라는 입장이다. 그러나 중국은 어디를 막론하고 남중국해 전체가 자국 영해라고 맞서면서 여타 제3국이 이 다툼에 끼는 것을 경계해왔다. <br /><br />유전 합작개발 건(件) 외에 베트남과 인도의 해군 교류도 중국으로선 여간 부담스럽지 않다. 베트남이 자국 나짱항을 인도 해군에 개방해 주둔을 제의해오고 있어서다. 사실 베트남 근해의 남중국해 유전 개발합작에 이어 인도 해군의 베트남 항구 이용까지 현실화하면 인도는 본격적으로 남중국해 분쟁에 개입하는 모양새가 될 전망이다. <br /><br />환구시보는 14일자에서 베트남과 인도의 유전합작개발 서명을 겨냥해 "인도가 끝내 흙탕물에 발을 담궜다"라고 표현했다. <br /><br />그러나 남중국해를 '독식'하려는 중국의 해법은 이미 필리핀으로부터도 거절당한 바 있다. <br /><br /><a class="keyword" title=">검색하기" onmouseover="UI.toolTip(event)"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C8%C4%C1%F8%C5%B8%BF%C0&nil_profile=newskwd&nil_id=v20111014114929655" target="new"><span style="color: #0b09cb;">후진타오</span></a>(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8월 31일 아키노 필리핀 대통령을 초청한 정상회담 자리에서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을 미국 등의 제3국이 개입하는 다자 방식이 아닌 양자 방식으로 해결하고, 해당 해역을 공동개발하자는 안(案)을 냈지만 아키노 대통령이 이를 거부했다. 중국 정부는 당시 필리핀과 130억 달러에 달하는 경제협력 카드까지 건넸으나 필리핀의 동의를 얻는데 실패했다. <br /><br />이 때문에 아키노 대통령이 방중을 마치고 귀국하자 중국 내에서는 "필리핀이 경제적 이득만 챙기고 남중국해 제의는 거절했다"는 비난여론이 일기도 했다. <br /><br />필리핀은 아키노 대통령의 방중 이후 더 강경한 남중국해 해법을 내고 있다는 지적이다. <br /><br />필리핀은 지난달 지난 22∼23일 마닐라에서 중국을 배제한 채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해사 전문가 회의를 개최하고서 '필리핀식 해법'을 제시한 게 단적인 사례다. 이는 남중국해를 소유권 다툼 여부로 따져 분쟁과 무분쟁 해역으로 나눈 후 공동 또는 독자 개발하자는 것인데 남중국해 전체가 자국 주권 영역이라고 주장하는 중국에 맞불을 놓은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br /><br />필리핀의 과감한 행보는 거기에서 그치지 않았다. 아키노 대통령이 지난달 27일 일본을 방문해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총리와의 정상회담을 통해 남중국해 해법과 관련해 '동맹'을 체결했다. <br /><br />필리핀은 정상회담에서 중국의 또 다른 <a class="keyword" title=">검색하기" onmouseover="UI.toolTip(event)"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BE%C6%C5%B3%B7%B9%BD%BA%B0%C7&nil_profile=newskwd&nil_id=v20111014114929655" target="new"><span style="color: #0b09cb;">아킬레스건</span></a>인 동중국해 센카쿠(尖閣)열도(중국명 <a class="keyword" title="" onmouseover="UI.toolTip(event)"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B4%F4%BF%C0%C0%A7%B4%D9%BF%C0&nil_profile=newskwd&nil_id=v20111014114929655" target="new"><span style="color: #0b09cb;">댜오위다오</span></a> < 釣魚島 > 와 주변 섬)에 대한 중국·일본 분쟁에서 일본 지지 입장을 밝히고, 일본은 남중국해 갈등에서 필리핀을 지원한다는 약속을 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br /><br />정상회담을 통해 필리핀과 일본이 차관급 전략대화를 개설하고 안보분야 교류를 촉진하는 한편 일본 해상보안청이 필리핀 해군 전력 향상을 지원하기로 합의해 일본도 남중국해 분쟁에 낄 소지가 마련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br /><br />이처럼 필리핀과 베트남을 상대로 한 중국식 남중국해 해법이 사실상 '무산'되면서, 남중국해에서 다시 '분쟁'의 파고가 높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br /><br />필리핀과 베트남이 자국 의도대로 석유탐사활동을 지속하고 중국은 이를 차단하려는 시도를 이어갈 것이고, 그 과정에서 자칫 무력 충돌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div> </div> </div>
<div style="font-size: 10pt;">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머니투데이 박종진 기자 </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수출입은행<span lang="EN-US">(</span>은행장 김용환<span lang="EN-US">, </span>이하 수은<span lang="EN-US">)</span>은<span lang="EN-US"> 13</span>일 필리핀 수도 마닐라에서 사무소 개소식을 열고 본격적 업무를 시작했다고 밝혔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이날 개소식에는 김용환 수은 행장과 이혜민 주 필리핀 대사를 비롯해 카예따노 빠데랑가 경제개발청 장관<span lang="EN-US">, </span>세사 푸리시마 재무장관<span lang="EN-US">, </span>로헬리오 싱손 공공사업도로부 장관<span lang="EN-US">, </span>프로세소 알칼라 농업부 장관 등 필리핀의 주요 경제부처 장관이 대거 참석했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김 행장은 이날 인사말에서<span lang="EN-US"> "</span>필리핀은 아시아 국가 중 처음으로 한국전쟁에<span lang="EN-US"> 7500</span>명의 병력을 파병한 혈맹<span lang="EN-US">"</span>이라며<span lang="EN-US"> "</span>풍부한 농업<span lang="EN-US">·</span>광물자원과 영어구사 인력 등을 보유하고 있어 우리나라의 기술<span lang="EN-US">·</span>자본과 유기적으로 결합된다면 훌륭한 파트너로 발전할 것<span lang="EN-US">"</span>이라고 말했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이와 관련 빠데랑가 필리핀 경제개발청 장관은<span lang="EN-US"> "</span>필리핀 정부는 최근 발전소<span lang="EN-US">, </span>철도<span lang="EN-US">, </span>항만 등 인프라 구축에 초점을 맞춰 외국인 투자를 적극 유치해 왔다<span lang="EN-US">"</span>며<span lang="EN-US"> "</span>최근 세부 발전소 건설에 대규모 금융을 제공했던 수출입은행이 이번 사무소 개소를 계기로 필리핀 내 인프라 개발 사업에 더욱 관심을 가져주길 바란다<span lang="EN-US">"</span>고 밝혔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이에 따라 마닐라 사무소는 앞으로 우리 기업의 현지영업 지원을 위한 수출입과 해외투자 금융 주선은 물론 필리핀 정부가 추진하는 각종 인프라 개발 사업에도 참여할 계획이다<span lang="EN-US">. </span>특히 대외경제협력기금<span lang="EN-US">(EDCF)</span>의 연계지원을 추진해 양국 간 경제협력 증진을 위한 전초기지 역할을 수행한다는 목표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한편 김 행장은 이와 별도로 이날 필리핀 세사 푸리시마 재무장관과<span lang="EN-US"> '</span>라귄딩간 공항 항법 지원 설비 공급 사업<span lang="EN-US">'</span>에 대한<span lang="EN-US"> 1300</span>만 달러 규모의<span lang="EN-US"> EDCF </span>차관공여계약에 서명했다<span lang="EN-US">. </span>내년 라귄딩간 국제공항이 완공되면 민다나오섬에 대한 접근성이 좋아져 관광산업 활성화가 기대된다<span lang="EN-US">.</span></span></p> </div>
<div style="font-size: 10pt;">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이범준 기자 <span lang="EN-US">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10102125185<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필리핀 타귁시<span lang="EN-US">(Taguig City)</span>의 빈민가<span lang="EN-US">. </span>열린의사회와 국가보훈처가 마련한<span lang="EN-US"> 6·25 </span>참전국 순회 의료봉사 현장은 열기로 가득차 있었다<span lang="EN-US">. 30</span>도를 웃도는 무더위와 필리핀 특유의 높은 습도 때문이었다<span lang="EN-US">. </span>숨이 턱밑까지 차오르고 허벅지와 종아리에서 흘러내린 땀은 연신 신발 속으로 흘러들었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하지만 열린의사회 소속 봉사단원들은 흐트러짐이 없었다<span lang="EN-US">. </span>백승재 관동대 의대 교수<span lang="EN-US">(37)</span>는 의료용 장갑을 끼고 여자아이의 머리에 두 엄지를 가져다 댔다<span lang="EN-US">. </span>순식간에 피고름이 사방으로 튀었다<span lang="EN-US">. </span>아이는 눈물이 가득 번진 눈을 감아버렸다<span lang="EN-US">. </span>백 교수는<span lang="EN-US"> ‘</span>농가진<span lang="EN-US">’</span>이라고 불리는 세균성 감염이라고 설명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한국에선<span lang="EN-US"> 6·25 </span>때나 나타났다는 피부병입니다<span lang="EN-US">. </span>위생이 좋지 않은 상태에서 자꾸 손을 대 감염되는 거죠<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지난<span lang="EN-US"> 4</span>일 필리핀 타귁시의<span lang="EN-US"> 6·25 </span>참전국 의료봉사 현장에서 백승재 관동대 의대 교수<span lang="EN-US">(</span>오른쪽<span lang="EN-US">)</span>가 환자 상태를 보호자에게 설명하고 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아이의 머리뿐 아니라 등과 가슴 등 온몸에 농가진이 번져 있었다<span lang="EN-US">. </span>백 교수는 아이를 달래가며 가슴에 청진기를 댔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백 교수가 의료봉사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것은 지난해 겨울부터다<span lang="EN-US">. </span>사고로 어깨를 크게 다쳐 수술을 받고 휴직했다<span lang="EN-US">. </span>갑갑하고 불안한 마음에 작은 병원의 단순 업무라도 찾아볼 생각으로 관련 인터넷 사이트를 찾았다<span lang="EN-US">. </span>그러다 열린의사회 의료봉사를 안내하는 글을 보게 됐다<span lang="EN-US">. </span>연세대 의대 시절<span lang="EN-US"> 1</span>년간 휴학하면서 충북 음성 꽃동네에서 봉사도 한 그였지만 한동안 잊고 있던 일이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이후 네 번이나 해외봉사를 떠나 에티오피아와 인도 등에 다녀왔다<span lang="EN-US">. </span>소속 병원에 폐를 끼치지 않으려 연월차 휴가를 이용하고<span lang="EN-US">, </span>자기 돈으로 항공권을 샀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백 교수는<span lang="EN-US"> “</span>내 손길이 절실하게 필요한 사람들이 있는 곳에서 내 자신이 무슨 사명을 띠고 있는지 깨닫게 된다<span lang="EN-US">”</span>고 말했다<span lang="EN-US">. </span>그는<span lang="EN-US"> “</span>최첨단 의료장비가 속속 등장하면서 손기술의 몫은 줄어들고 있다<span lang="EN-US">. </span>오히려 환자의 마음과 가족의 지지<span lang="EN-US">, </span>경제적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역할이 의사의 몫이다<span lang="EN-US">. </span>그 바탕은 인문학인데<span lang="EN-US">, </span>난 싼 값에 그 공부를 하는 셈<span lang="EN-US">”</span>이라고 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백 교수 옆에 있던 서삼석 치과 원장<span lang="EN-US">(49)</span>은 마취제 주사바늘을 환자의 입속에 찔러 넣더니 순식간에 치아 두 개를 뽑아냈다<span lang="EN-US">. </span>이렇게 수백명의 입속에서 치아가 쑥쑥 빠져나왔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치아가 부서지면서 뽑히면 다시 못 씁니다<span lang="EN-US">. </span>하지만 이렇게 통으로 나오는 것들은 치료하면 살릴 수 있어요<span lang="EN-US">. </span>그런데 다시 치료받을 가능성이 없으니 빼달라고 합니다<span lang="EN-US">. </span>아이들 이를 뽑을 때는 정말 안타깝죠<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서 원장은 경남 진주에서 병원을 운영하고 있다<span lang="EN-US">. </span>이번 의료봉사를 위해 이틀간 병원 문을 닫았다<span lang="EN-US">. </span>함께 봉사온 수련의와 공중보건의들은<span lang="EN-US"> “</span>개업의가 병원 문을 닫고 오기는 쉽지 않다<span lang="EN-US">. </span>하루만 닫아도 환자가 줄어든다<span lang="EN-US">”</span>며 서 원장을<span lang="EN-US"> “</span>대단하다<span lang="EN-US">”</span>고 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서 원장은 올해로 의사<span lang="EN-US"> 10</span>년차다<span lang="EN-US">. </span>사범대를 졸업하고 경남 남해 등에서 영어교사로 일하다<span lang="EN-US"> 8</span>년 만에 교직을 떠나<span lang="EN-US"> 2</span>년간 도배일을 했다<span lang="EN-US">. </span>그러다 치과대학에 편입해<span lang="EN-US"> 40</span>세에 늦깎이 의사가 되었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그가 봉사를 시작한 것은 절박한 상황에서였다<span lang="EN-US">. </span>돈이 없어 고용의사부터 해야 하는데<span lang="EN-US">, </span>나이가 많으니 그마저도 쉽지 않았던 것이다<span lang="EN-US">. </span>그래서 월급을 받지 않는 조건으로 일을 배우면서도 사회에 기여해야겠다는 생각에 나환자촌 진료를 시작했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안상현 서울아산병원 수련의<span lang="EN-US">(29)</span>도 봉사에 함께했다<span lang="EN-US">. </span>그는 연구에 뜻을 두고 임상의 대신 약리학을 전공으로 택했다<span lang="EN-US">. </span>하지만 봉사활동을 하는 아내와 함께 의료 봉사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span lang="EN-US">. </span>왜 한국을 놔두고 해외로 봉사를 가느냐는 질문에 그는<span lang="EN-US"> “</span>한국에서는 쉽게 치료되는 질환이 필리핀 등에서는 치명적 질병이 되고 있다<span lang="EN-US">”</span>며<span lang="EN-US"> “</span>이들에게 기본적 의료만 주어지면 삶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span lang="EN-US">”</span>고 말했다<span lang="EN-US">.</span></span></p> </div>
<div style="font-size: 10pt;">PHILIPPINES BANK HOSTAGE TAKING</div> <div style="font-size: 10pt;"> </div> <div style="font-size: 10pt;"> </div> <div style="font-size: 10pt;"><br />epa02964195 Filipino policemen escort victims during a bank robbery with hostage taking in Bacoor town, Cavite Province south of Manila, Philippines on 13 October 2011. Hostage-takers in Cavite province surrendered to police hours after holding six employees hostage, authorities said. EPA/DENNIS M. SABANGAN <br /><br /> <div class="GS_conC" style="width: 500px;"> <p class="ph"><img src="http://i2.media.daumcdn.net/photo-media/201110/13/yonhap/20111013165616285.jpg" alt="" width="500" /></p> </div> </div> <div style="font-size: 10pt;"> </div> <div style="font-size: 10pt;">필리핀 카비떼 은행에 강도가 들었다는 뉴스같습니다...</div>
<div style="font-size: 10pt;">(타이베이=연합뉴스) 류성무 특파원 = <a class="keyword" title="" onmouseover="UI.toolTip(event)"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BA%A3%B4%CF%B1%D7%B3%EB&nil_profile=newskwd&nil_id=v20111013111805128" target="new"><span style="color: #0b09cb;">베니그노</span></a> 아키노 필리핀 대통령이 논란이 돼온 독재자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전 대통령의 <a class="keyword" title="&gt;검색하기" onmouseover="UI.toolTip(event)"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B1%B9%B8%B3%B9%A6%C1%F6&nil_profile=newskwd&nil_id=v20111013111805128" target="new"><span style="color: #0b09cb;">국립묘지</span></a> 안장 문제에 대해 불허 입장을 거듭 밝혔다. <br /><br />아키노 대통령은 12일 외신 기자들의 관련 질문을 받고 "군사 계엄 시절 희생된 많은 피해자가 있고 그들은 아직도 국가로부터 희생자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면서 "내가 지켜보는 동안 국립묘지 안장은 안 된다"고 말했다고 필리핀 데일리 인콰이어러 등 현지 언론들이 13일 전했다. <br /><br />그는 또 "모든 고통을 직접적으로 조장한 장본인에게 명예로운 대우를 한다면 이는 정말 불평등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br /><br />아키노는 앞서 지난 6월에도 이 문제는 고려의 대상이 아니라고 밝힌 바 있다. <br /><br />20여년간 독재 끝에 필리핀 국민의 '피플파워' 시위에 밀려 하와이로 망명했던 마르코스 전 대통령은 지난 1989년 호놀룰루에서 72세를 일기로 죽음을 맞이했다. <br /><br />1993년 필리핀 정부가 그의 시신을 고국으로 옮겨올 수 있도록 허용했고 가족들은 국립묘지 안장을 주장하며 시신을 매장하지 않고 미라 형태로 필리핀 북부의 고향마을에 18년째 임시 안장하고 있다. <br /><br />마르코스 가족과 필리핀 내 정치적 동맹 세력은 지속적으로 국립묘지 안장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br /><br /><br /></div>
<div style="font-size: 10pt;">(서울=연합뉴스) 권영전 기자 = <a class="keyword" title="" onmouseover="UI.toolTip(event)"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B6%F3%C0%CC%BA%EA%C7%C3%B7%BA%BD%BA&nil_profile=newskwd&nil_id=v20111013153542065" target="new"><span style="color: #0b09cb;">라이브플렉스</span></a>는 필리핀 게임포털 '게임클럽'과 계약을 맺고 일인칭슈팅게임(FPS) '쉐도우 컴퍼니'의 현지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13일 밝혔다. <br /><br />FPS 전문 개발사인 두빅이 개발하는 '쉐도우 컴퍼니'는 4개 팀이 동시에 전투를 펼치는 '배틀 스쿼드 모드'를 지원한다. <br /><br />또 뛰어난 그래픽과 실감 나는 타격감을 통해 사실적인 전투 장면과 생생한 캐릭터 움직임을 보여준다. <br /><br /> <div class="GS_conC" style="width: 500px;"> <p class="ph"><img src="http://i2.media.daumcdn.net/photo-media/201110/13/yonhap/20111013153542129.jpg" alt="" width="500" /></p> </div> <a class="keyword" title="&gt;검색하기" onmouseover="UI.toolTip(event)"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B1%E8%BA%B4%C1%F8&nil_profile=newskwd&nil_id=v20111013153542065" target="new"><span style="color: #0b09cb;">김병진</span></a> 라이브플렉스 대표이사는 "FPS 명문 두빅과 필리핀 최고의 FPS 포털이 만나 강력한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개발사와 긴밀한 현지화 작업을 진행해 이른 시일 안에 서비스할 것"이라고 말했다. <br /><br />'쉐도우 컴퍼니'는 국내에서 이달 중으로 첫 비공개테스트(CBT)를 진행할 예정이다. <br /><br /></div>
<div style="font-size: 10pt;">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AFP New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대통령 정책 보좌관 로날드 라마는 수많은 논란 끝에 그의 차를 사적인 용도로 사용한 그의 직원 두 명을 해고했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라마의 차량과 관련된 사고 후 총기와 방탄조끼가 대통령 측근의 차량에서 발견해 논란이 일었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말라카냥 궁은 이 무기들이 필요한 절차를 밟아 등록된 무기었다고 말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말라카냥 궁은 라마 사무실의 말을 인용해 라마의 타에 차고 있던 조이 발데라마 텍슨과 존 브릴리언트 아랄콘이 금요일 아침 커몬웰스로를 가다가 사고가 났다고 말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텍슨과 아랄코은 차를 라마의 집으로 가져가라는 명을 받았지만 어기고 개인적인 용도로 검은 색 미츠비시 몬테로 스포츠 차량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사고 당시 라마는 스위스 제네바에서 유엔 난민 고등 판무관 사무소 회의에 참석 중이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라마는 출국 전 무기를 차에서 내려 안전한 곳에 보관하라고 명령했지만<span lang="EN-US">, </span>두 직원들이 명을 따르지 않았다<span lang="EN-US">”</span>라고 정책 보좌관실이 성명서를 통해 밝혔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보좌관실은<span lang="EN-US"> “</span>두 직원의 해임 처리가 벌써 진행 중이다<span lang="EN-US">”</span>라고 덧붙여 말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보좌관실은 라마의 총기 소지에 대해 숨길 의도가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사고를 은폐하려는 시도는 경찰<span lang="EN-US">, </span>언론<span lang="EN-US">, </span>대중을 포함 그 누구에서도 없었다<span lang="EN-US">”</span>라고 보좌관실은 더했다<span lang="EN-US">.</span></span></p> </div>
<div style="font-size: 10pt;">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lang="EN-US">Posted : KST </span>김미나 기자 </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lang="EN-US">1</span>천 헥타르가 넘는 필리핀 농장에서 재배된 바나나가 이웃국에서 건너온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밝혀졌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바탕','serif'; mso-bidi-font-family: 바탕;">美</span><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아이비타임즈<span lang="EN-US">(IBTimes)</span>는<span lang="EN-US"> 12</span>일<span lang="EN-US">(</span>현지시간<span lang="EN-US">) </span>필리핀의 한 바나나 농가의 말을 인용<span lang="EN-US">, “</span>지금 바이러스를 차단하지 않으면 필리핀의 바나나 농장이<span lang="EN-US"> 3</span>년 동안 피해를 입을 것<span lang="EN-US">”</span>이라며 이같이 전했다<span lang="EN-US">.<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필리핀 바나나 재배와 수출 상인 협회의 스티븐 앤티그는<span lang="EN-US"> “</span>푸사륨이라고 불리는 이 바이러스는 농장 주변의 바나나를 죽이고 계속해서 빠른 속도로 곰팡이를 번식시켜 제어할 수 없도록 한다<span lang="EN-US">”</span>고 말했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그는<span lang="EN-US"> AFP</span>와의 인터뷰를 통해<span lang="EN-US"> “</span>현재까지 지방 바나나 농장<span lang="EN-US"> 1</span>천<span lang="EN-US"> 2</span>백 헥타르<span lang="EN-US">(2950 </span>에이커<span lang="EN-US">)</span>가 피해를 입었고<span lang="EN-US">, </span>피해 지역은 더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span lang="EN-US">”</span>고 밝혔다<span lang="EN-US">. AFP </span>통신은<span lang="EN-US"> “7</span>천 헥타르의 바나나 농장이 있는 필리핀은 에콰도르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바나나를 수출하고 있으며<span lang="EN-US">, 28</span>만명의 일자리를 만든다<span lang="EN-US">”</span>고 설명했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세계에서 가장 즐겨먹는 카벤디쉬 바나나는 수익성이 가장 좋다<span lang="EN-US">. </span>앤티그는<span lang="EN-US"> “</span>만약 이 산업이 손상을 입는다면 국가 경제에도 큰 영향을 줄 것<span lang="EN-US">”</span>이라고 지적했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그는 또한<span lang="EN-US"> “1960</span>년대에 푸사륨 곰팡이는 미 중부에서 유명했던 미셸 바나나 농장과 캐리비언의 농장을 휩쓸었다<span lang="EN-US">. </span>그리고<span lang="EN-US"> 1990</span>년대 카벤디쉬 바나나 농장이 있는 인도네이사와 말레이시아에 큰 피해를 준 적이 있다<span lang="EN-US">”</span>며<span lang="EN-US"> “</span>이 곰팡이 균의 추적은<span lang="EN-US"> 5</span>년 전 제어할 수 없는 수준이었다<span lang="EN-US">”</span>고 회상했다<span lang="EN-US">.<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그는<span lang="EN-US"><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AFP </span>통신과의 인터뷰에서<span lang="EN-US"> “</span>지난 달 더 치명적인 피해를 주는 곰팡이 균이 나타나 필리핀에서 가장 많은 바나나 재배와 수출을 하는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에 피해가 속출하기 시작했다<span lang="EN-US">”</span>며<span lang="EN-US"> “</span>정부는 푸사륨 마름병에 견딜 수 있는 바나나 종을 재배하도록 연구 기관을 빨리 세워야 한다<span lang="EN-US">”</span>고 강조했다<span lang="EN-US">.</span></span></p> </div>
<div style="font-size: 10pt;">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파이낸셜 뉴스)</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라이브플렉스<span lang="EN-US">(</span>대표 김병진<span lang="EN-US">)</span>는 필리핀 현지법인이 운영하는 게임포털<span lang="EN-US"> ‘</span>게임클럽<span lang="EN-US">(ph.gameclub.com)</span>을 통해 두빅<span lang="EN-US">(</span>대표 임준혁<span lang="EN-US">)</span>이 개발중인<span lang="EN-US"> 1</span>인칭 슈팅<span lang="EN-US">(FPS) </span>게임<span lang="EN-US"> ‘</span>쉐도우 컴퍼니<span lang="EN-US">’</span>의 필리핀 서비스 계약을 체결했다고<span lang="EN-US"> 13</span>일 밝혔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쉐도우 컴퍼니<span lang="EN-US">’</span>는<span lang="EN-US"> FPS </span>전문 개발사인 두빅에서 언리얼<span lang="EN-US"> 3 </span>엔진으로 개발중인 기대작으로 패키지 게임 수준의 그래픽과 뛰어난 타격감<span lang="EN-US">, </span>긴장감 넘치는 전투 등을 사실적으로 구현했으며 전 세계 각국 군인의 실제 모션을 바탕으로 하는 생생한 캐릭터 움직임도 만나볼 수 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특히<span lang="EN-US"> FPS </span>최초로 선보이는<span lang="EN-US"> ‘</span>배틀 스쿼드 모드<span lang="EN-US">’</span>를 통해<span lang="EN-US"> 4</span>개팀이 동시에 전투를 펼치는 시스템으로 전략적인 팀플레이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으며 국내에서는 오는<span lang="EN-US"> 10</span>월<span lang="EN-US"> 20</span>일 넷마블을 통해 첫 비공개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한편<span lang="EN-US"> ‘</span>쉐도우 컴퍼니<span lang="EN-US">’</span>를 서비스할 라이브플렉스의 필리핀 게임포털<span lang="EN-US"> ‘</span>게임클럽<span lang="EN-US">’</span>은 현지 시장에서 최고의 인기를 얻고 있는<span lang="EN-US"> ‘</span>크로스파이어<span lang="EN-US">’, ‘</span>스페셜포스<span lang="EN-US">’ </span>등으로<span lang="EN-US"> FPS </span>시장을 선점하고 있으며 <span lang="EN-US">‘</span>드라고나 온라인<span lang="EN-US">’, ‘</span>십이지천<span lang="EN-US">2’, ‘</span>천존협객전<span lang="EN-US">’ </span>등으로<span lang="EN-US"> MMORPG </span>시장도 확대해 나가고 있는 현지 최고의 게임포털이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두빅 역시<span lang="EN-US"> ‘</span>히트프로젝트<span lang="EN-US">’, ‘</span>컴뱃암즈<span lang="EN-US">’ </span>등의 게임을 개발하며<span lang="EN-US"> ‘FPS</span>의 달인<span lang="EN-US">’</span>이라 불릴 정도의 뛰어난 개발력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으로<span lang="EN-US"> 10</span>년여의<span lang="EN-US"> FPS </span>개발 노하우를 집중해<span lang="EN-US"> ‘</span>쉐도우 컴퍼니<span lang="EN-US">’</span>를 개발하고 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라이브플렉스 김병진 대표이사는<span lang="EN-US"> “FPS </span>최고의 전문가인 두빅과 필리핀 최고의<span lang="EN-US"> FPS </span>게임 서비스 포털이 만나 강력한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span lang="EN-US">”</span>며<span lang="EN-US"> “</span>개발사와의 긴밀한 현지화 작업을 통해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를 진행할 것<span lang="EN-US">”</span>이라고 밝혔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두빅의 임준혁 대표이사도<span lang="EN-US"> “</span>필리핀 최고의 게임포털인 게임클럽과 파트너쉽을 맺게 되어 정말 기쁘다<span lang="EN-US">”</span>며<span lang="EN-US"> “</span>필리핀 최고의<span lang="EN-US"> FPS </span>게임이 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span lang="EN-US">”</span>이라고 각오를 전했다<span lang="EN-US">.</span></span></p> </div>
<div style="font-size: 10pt;">[SSTV l 이금준 기자] ‘제2의 산다라박’을 꿈꾸는 신인 가수 하다미가 한국과 필리핀 동시 공략에 나선다.<br /> <br />하다미의 소속사 측은 12일 “최근 ABS-CBN 방송국 관계자들과의 마닐라와 서울에서의 각각 미팅을 가졌다”며 “현재 하다미를 ‘제2의 산다라박’으로 키워보자는 제안까지 들어온 상태”라고 밝혔다.<br /> <br />그녀에게 러브콜을 보낸 ABS-CBN은 필리핀 최대 방송국 중 하나로 투애니원(2NE1)의 산다라박이 국내 데뷔 전 활동을 펼치기도 했던 곳이다. 특히 하다미는 필리핀판 ‘우리 결혼했어요’에 출연도 가능하단 결론이 내려져 현재 시기를 조율 중이다.<br /> <br />SM엔터테인먼트, 내가네트워크 등 몇몇 기획사에서 연습생으로 데뷔를 준비하다 현 기획사를 만난 하다미는 현재 국내와 필리핀에서 내년 1월 동시 데뷔를 목표로 녹음을 끝내고 막바지 연습에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br /> <br />앞서 그녀는 중학생 시절 몇몇 재연 드라마에 주인공으로 출연하며 얼굴을 알렸으며 동덕여대 방송연예과 재학 중 프로야구단 LG트윈스 치어리더에 발탁, 2010 시즌 야구팬들의 사랑을 받기도 했다.<br /> <br />소속사 측은 하다미에 대해 “21살 어린 나이에 여러 경험을 하다 보니 연예계 데뷔뿐만 아니라 인생에 있어 또래들 보다 조금 더 성숙하다”며 “가요계의 바다를 힘차게 헤쳐 나갈 수 있는 충분한 자신감이 있다”고 설명했다.<br /> <br />[동영상-인터넷뉴스 No.1 SSTV|www.ahaTV.co.kr]<br /> </div>
<div style="font-size: 10pt;">리잘주 앙고노에서 오는 22일 '히간테스 페스티벌’ 열려</div> <div style="font-size: 10pt;"> </div> <div style="font-size: 10pt;"><br /> <p>[투어코리아= 오재랑 기자] 필리핀 리잘(Rizal)주 앙고노(Angono) 에서 오는 22일 '히간테스 페스티벌' (Higantes Festival)이 열린다.</p> <p> </p> <table id="news_image" class="center" style="width: 600px;" align="center"> <tbody> <tr> <td><img src="http://www.tournews21.com/PEG/13183781320489.jpg" alt="" width="600" align="absMiddle" /> <div id="news_caption">▲히간테스 페스티벌 종이 인형</div> </td> </tr> </tbody> </table> <p>'히간테스 페스티벌'의 '히간테'(Higante)는 스페인어로 거인(Giant)을 뜻하는 것으로, 앙고노 마을 사람들이 어부들의 수호성인 산 클레멘테 (San Clemente)를 기리기 위한 축제다.</p> <p> </p> <p>'히간테스 페스티벌'은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필리핀 전통 의상과 화려하게 꾸민 의상 등을 입고 거리를 행진한다.</p> <p> </p> <p>축제 퍼레이드는 오전과 오후로 나눠 펼쳐지는데 특히 오후 퍼레이드는 1시부터 5시까지 화려한 교황 의상으로 치장한 약 3~5미터 높이의 대형 종이 인형과 함께 마을 중심지를 행진한다.</p> <p> </p> <table id="news_image" class="center" style="width: 500px;" align="center"> <tbody> <tr> <td><img src="http://www.tournews21.com/PEG/13183781365889.jpg" alt="" width="500" align="absMiddle" /> <div id="news_caption">▲축제 퍼레이드</div> </td> </tr> </tbody> </table> <p>축제는 라구나(Laguna) 하류에서 시작돼 ‘히간테스’ 상이 교회로 들어올 때까지 이어지며, ‘파하도레스(pahadores)’ 라고 불리는 색색의 전통 옷, 어부 옷, 나무 신과 노, 그물 등으로 장식한 마을 사람들과 히간테스가 함께 이동 하는데 그 모습이 장관을 이룬다.</p> <p> </p> <p>축제 중간 중간에 사람들은 거인 꼭두각시 인형을 앞세워 물싸움을 벌이는데, 물에 흠뻑 젖은 사람들과 거대인형들이 어우러져 즐거운 분위기를 연출한다.</p> <p><br />따라서 축제에 참가하려는 사람들은 물총 하나씩 준비해 갈 것을 권한다.</p> <p> </p> <table id="news_image" class="center" style="width: 550px;" align="center"> <tbody> <tr> <td><img src="http://www.tournews21.com/PEG/13183781429578.jpg" alt="" width="550" align="absMiddle" /> <div id="news_caption">▲축제퍼레이드</div> </td> </tr> </tbody> </table> <p>필리핀관광청의 마리콘 바스코 에브론 한국 지사장은 “히간테스 페스티벌은 화려한 옷감과 액세서리로 치장된 거대인형의 퍼레이드가 백미" 라며 “예술의 도시 앙고노에서 히간테스 페스티벌과 함께 좋은 추억을 만들어 보기 바란다"고 말했다.</p> <p><br />한편, 필리핀 수도 마닐라 동쪽에 위치한 앙고노는 조지 브이 블랑코(Jose V. Blanco)와 네미란다(Nemiranda) 등 명성 있는 필리핀 화가와 조각가들의 출신지로도 알려지면서 예술가의 천국으로 불리며 최근 떠오르는 여행지로 각광받고 있다.</p> <p> </p> </div>
<div style="font-size: 10pt;">(서울=연합뉴스) 박대한 기자 = 기상청은 올해 제20호 태풍 '바냔(BANYAN)'이 12일 오전 9시 현재 필리핀 마닐라 남동쪽 820km 부근 해상에서 시속 20km의 속도로 서북서진하고 있다고 이날 밝혔다. <br /><br />'바냔'은 이날 오전 3시 기준 중심기압 1천2 <a class="keyword" title="" onmouseover="UI.toolTip(event)"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C7%ED%C5%E4%C6%C4%BD%BA%C4%AE&nil_profile=newskwd&nil_id=v20111012104940415" target="new"><span style="color: #0b09cb;">헥토파스칼</span></a>(hPa), 최대풍속 초속 18m의 약한 소형태풍이다. <br /><br />태풍은 서북서진하면서 이날 낮 필리핀 제도 남동쪽 해안에 상륙한 뒤 <a class="keyword" title="" onmouseover="UI.toolTip(event)"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BC%BC%BA%CE%BC%B6&nil_profile=newskwd&nil_id=v20111012104940415" target="new"><span style="color: #0b09cb;">세부섬</span></a> 등 중부 도서지역을 통과해 북서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br /><br />태풍이 도서지역을 통과하면서 빠르게 약화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12∼14일 필리핀 소재 주요 관광지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필리핀 현지 여행객과 필리핀 부근 및 남중국 해상에서 항해 및 조업하는 선박들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기상청은 당부했다. <br /><br /><br /></div>
<div style="font-size: 10pt;">(타이베이=연합뉴스) 류성무 특파원 = 베그니노 아키노 필리핀 대통령이 12일 720억 페소(한화 1조9천300억원) 규모의 경기부양 대책을 발표했다. <br /><br />이는 5~6%로 책정된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차질없이 달성하기 위한 조치라고 필리핀 당국은 설명했다. <br /><br />연말까지 집행될 예정인 관련 정책 자금은 <a class="keyword" title="" onmouseover="UI.toolTip(event)"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BB%E7%C8%B8%B0%A3%C1%A2%C0%DA%BA%BB&nil_profile=newskwd&nil_id=v20111012153925541" target="new"><span style="color: #0b09cb;">사회간접자본</span></a>(SOC) 구축과 빈곤층 지원, 태풍피해 복구 사업 등에 집중적으로 투입될 예정이다. <br /><br />또 일부는 심각한 재정난을 겪고 있는 지자체에 긴급 자금 형태로 전달될 것으로 전해졌다. <br /><br />아키노 대통령은 "거시 경제에 영향이 큰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경기부양 자금이 상당 부분 쓰일 예정이며 빈곤층에도 일부 자금이 지원된다"고 말했다. <br /><br /><br /></div>
<div style="font-size: 10pt;">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lang="EN-US">[</span>아시아투데이<span lang="EN-US">=</span>정해용 기자<span lang="EN-US">] KB</span>금융지주 경영연구소<span lang="EN-US">(</span>소장 양원근<span lang="EN-US">)</span>은<span lang="EN-US"> 10</span>개 신흥국의 경제 건전성을 분석한 결과 인도네시아<span lang="EN-US">, </span>필리핀의 건전성은 대폭 개선됐지만 브라질<span lang="EN-US">, </span>인도는 개선 정도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고<span lang="EN-US"> 12</span>일 밝혔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연구소가 한국<span lang="EN-US">, </span>중국<span lang="EN-US">, </span>인도<span lang="EN-US">, </span>인도네시아<span lang="EN-US">, </span>필리핀<span lang="EN-US">, </span>브라질<span lang="EN-US">, </span>멕시코<span lang="EN-US">, </span>러시아<span lang="EN-US">, </span>터키<span lang="EN-US">, </span>남아프리카공화국 등<span lang="EN-US"> 10</span>개 신흥국을 대상으로<span lang="EN-US"> ▲ </span>해외부문의 통화증발 압력<span lang="EN-US"> ▲</span>통화 및 민간신용의 팽창 정도<span lang="EN-US"> ▲</span>실물경기의 과열 여부<span lang="EN-US"> ▲</span>경제위기에 대처할 수 있는 기초 체력<span lang="EN-US">(</span>재정 건전성<span lang="EN-US">, </span>대외채무 적정성<span lang="EN-US">) ▲</span>환율 변동 등<span lang="EN-US"> 5</span>가지 항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통화<span lang="EN-US">, </span>국제수지<span lang="EN-US">, </span>재정건전성<span lang="EN-US">, </span>실질금리 등이 적절하게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span lang="EN-US">.<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또 경제성장률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span lang="EN-US"> 5</span>가지 항목 모두 큰 폭으로 개선된 것으로 분석했다<span lang="EN-US">. </span>필리핀은 경제 성장세가 양호하고<span lang="EN-US">, </span>통화공급이 적절하게 관리되는 등 경제 안정성이 대폭 향상됐고 환율이 안정적인 절상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span lang="EN-US">. </span>하지만 재정구조 개선이 미흡해 해외 통화증발압력이 지속될 경우 정부재정이 악화될 소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연구소는 중국의 경우 건전성이 양호한 가운데 경기과열<span lang="EN-US">, </span>해외통화증발 압력 등에 대응해 경제 안정화 정책이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반면 브라질은 재정구조 개선이 미흡한 가운데 통화공급 급증<span lang="EN-US">, </span>물가상승<span lang="EN-US">, </span>경상수지 적자 등이 진행되고 있어 경기과열 우려가 상존하고 있다고 분석했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또 저축률이<span lang="EN-US"> 10</span>개국 중 가장 낮은 가운데<span lang="EN-US"> DSR(</span>외채 원리금 상환액<span lang="EN-US">/</span>수출액<span lang="EN-US">)</span>이<span lang="EN-US"> 10</span>개 신흥국 중 터키 다음으로 높다는 점도 건전성을 낮추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연구소는 지적했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인도는 고성장이 지속되고 있고 저축률과 투자율이 높으며<span lang="EN-US"> DSR</span>이 양호하다는 점 등이 긍정적이지만<span lang="EN-US"><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경상수지 적자<span lang="EN-US">, </span>재정수지 큰 폭의 적자 등이 진행되고 있어 내수 과열 우려가 상존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span lang="EN-US">. </span></span></p> </div>
<div style="font-size: 10pt;"><br /> <p>필리핀112 여성노숙자쉼터 오픈예정입니다.-필112공지사항-</p> <p> </p> <p>필리핀112에서 공지합니다.</p> <p>안녕하세요.필리핀112봉사원 입니다.</p> <p>현재저희단체는 여성노숙자쉼터오픈을 준비중입니다.</p> <p>필리핀교민분들의 어려움을 누구보다도 잘아는 단체이기에</p> <p>성별구분없이 남여 모두 쉼터를 운영하려합니다.</p> <p>현재는 남성쉼터만 운영했으나, 여성분들도 남성만큼 어려운 상황을 잘알고잇습니다.</p> <p>이에.몇달전부터 기획햇던 여성쉼터운영을 이제 곧 준비해서 어려운 교민분들의</p> <p>든든한 그림자같은 단체가 되고자합니다.</p> <p> </p> <p>여성쉼터는 말그대로 노숙을 부득이하게 할수밖에 없는 교민여성분들을 위한 공간이되고자합니다.</p> <p>좀더 진행상황이되면 수시로 공지하겟습니다.</p> <p> </p> <p>필리핀 전국 각지방에서 교민들의 희망찬미래를 위해 노력하시는 필리핀112 지부장님 과 봉사분들에게 </p> <p>언제나 아낌없는 희생으로 이만큼 더 큰꿈을 그릴수있게 해주셔서 깊은 감사드립니다.</p> <p> </p> <p>필리핀112 봉사자 올림</p> <p><a href="http://cafe.naver.com/ehdghkf" target="_blank">http://cafe.naver.com/ehdghkf</a></p> <p> </p> <p> </p> <p> </p> <img id="http://cafefiles.naver.net/20111011_200/hhhfr_1318324867684fHCJ8_jpg/112%B7%CE%B0%ED_hhhfr.jpg" src="http://cafefiles.naver.net/20111011_200/hhhfr_1318324867684fHCJ8_jpg/112%B7%CE%B0%ED_hhhfr.jpg" alt="" width="423" height="142" /></div>
<div style="font-size: 10pt;">(부산=연합뉴스) 조정호 기자 = 부산 사하구에 사는 결혼 이주여성 헬렌(36)씨는 결혼 이후 한 번도 친정에 가지 못했다. <br /><br />건설 현장에서 노동을 하는 남편 등 다섯 가족이 어렵게 생활하면서 친정에 갈 수 없었다. <br /><br />남편의 건강이 안 좋아진 지난 8월에는 필리핀에 있는 친정아버지의 별세 소식을 듣고 눈물만 흘려야 했다. <br /><br />헬렌씨는 <a class="keyword" title="" onmouseover="UI.toolTip(event)"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B4%EB%C7%D1%C0%FB%BD%CA%C0%DA%BB%E7&nil_profile=newskwd&nil_id=v20111010155441914" target="new">대한적십자사</a>와 <a class="keyword" title="&gt;검색하기" onmouseover="UI.toolTip(event)"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C7%D1%B1%B9%B0%F8%C7%D7%B0%F8%BB%E7&nil_profile=newskwd&nil_id=v20111010155441914" target="new">한국공항공사</a>에서 진행하는 '다문화 가정 모국 방문 지원 사업'으로 11일 13년 만에 마닐라행 비행기에 몸을 싣게 된다. <br /><br />헬렌씨는 "결혼 이후 처음으로 고향에 갈 수 있어 너무 기쁘다"며 "아이들 키우기에 바쁘지만, 아르바이트를 하며 부모님에게 줄 선물도 준비했다"고 기뻐했다. <br /><br />올해 세 번째로 진행되는 이번 모국 방문 사업으로 헬렌씨를 포함한 필리핀 출신 결혼 이주여성 24명이 가족 73명과 함께 고향 길에 오르게 된다. <br /><br />대한적십자사와 한국공항공사는 11일 오후 6시 <a class="keyword" title="&gt;검색하기" onmouseover="UI.toolTip(event)"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B1%E8%C7%D8%B1%B9%C1%A6%B0%F8%C7%D7&nil_profile=newskwd&nil_id=v20111010155441914" target="new">김해국제공항</a> 국제선 3층 의전실에서 오랜만에 고향을 찾을 다문화 가족을 환송하는 행사를 진행한다. 고향 가족을 위해 마련한 기념 선물도 전달한다. <br /><br />2010년부터 대한적십자사와 함께 7차례에 걸쳐 다문화 가정 모국 방문사업을 진행한 한국공항공사는 왕복 항공권과 체재비 50만원씩을 지원했다. <br /><br />한국공항공사는 이번 지원 사업을 포함해 한국에서 거주하는 저소득 다문화 가정 121가구 410명을 후원했다. <br /><br /><br /></div>
<div style="font-size: 10pt;"><br />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이송원 기자 <span lang="EN-US">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10/10/2011101000240.html</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필리핀 남부 잠보앙가의 호텔과 투계장에서<span lang="EN-US"> 9</span>일 사제폭탄으로 의심되는 폭발이 두 차례 발생해 최소<span lang="EN-US"> 11</span>명이 다쳤다고<span lang="EN-US"> AP</span>통신이 보도했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잠보앙가의 셀소 로브레가트 시장은 이날 정오쯤 시내 호텔의 객실과 투계장에서 거의 동시에 폭발물이 두 차례 터져 최소<span lang="EN-US"> 11</span>명이 부상했다고 밝혔다<span lang="EN-US">. </span>사건 당시 잠보잉가에서는 카톨릭 연례축제가 벌어지고 있었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이번 폭탄테러의 범인은 즉각 확인되지 않았다<span lang="EN-US">. </span>시는 추가 공격을 막기 위해 긴급 대책회의를 소집했다고 밝혔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잠보앙가에서는 예전에도 알<span lang="EN-US">-</span>카에다와 연계된 이슬람 무장세력이 자주 폭탄공격을 자행했다<span lang="EN-US">. </span>앞서 지난달<span lang="EN-US"> 25</span>일에도 잠보앙가 일대에서 이슬람 무장세력이 해병대 초소를 급습하면서 교전이 벌어져 총<span lang="EN-US"> 15</span>명이 숨졌다<span lang="EN-US">.</span></span></p> </div>
<div style="font-size: 10pt;">(AP=연합뉴스) 8일(현지시간) 필리핀 마닐라에서 친구들과 함께 식사배급을 기다리는 한 남자어린이가 자신의 빈 그릇을 머리 위에 올려 보이고 있다. 태풍 네삿과 날개로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종교단체가 무료급식을 시작했다. <br /><br />(끝) <br /><br /><br /><br /> <div class="GS_conC" style="width: 500px;"> <p class="ph"><img src="http://i2.media.daumcdn.net/photo-media/201110/09/yonhap/20111009114841813.jpg" alt="" width="500" /></p> </div> </div>
<div style="font-size: 10pt;">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번역<span lang="EN-US"> 2011/10/07 23:40 GMT • </span>작성 <span lang="EN-US">Karlo Mikhail Mongaya</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번역<span lang="EN-US"> In Hee Choi</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필리핀 정부가 페이스북에 올린 합성 사진에 대한 파문이 일고 있다<span lang="EN-US">. </span>필리핀 공무원들이 태풍에 심하게 타격입은 도로를 검사하고 있는 이 사진은<span lang="EN-US">, </span>네티즌 사이에서 여러 다른 배경에 합성되어 화제를 낳고 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지난<span lang="EN-US"> 9</span>월<span lang="EN-US"> 28</span>일<span lang="EN-US">, </span>필리핀 고속도로 공사는 고속도로 공무원들이 태풍 네삿<span lang="EN-US">(</span>현지어로<span lang="EN-US"> Pedring)</span>이 입힌 피해를 조사하는 사진을 편집해 올렸다<span lang="EN-US">. </span>그리고 사진에 대한 설명을 다음과 같이 달았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고속도로 공사 직원들이 로사스 대로변에서 무너진 방파제를 살펴보고 있다<span lang="EN-US">. </span>고속도로 공사 차관 로메오 메모<span lang="EN-US">(Romeo S. Memo)</span>는<span lang="EN-US"> NCR</span>의 임원 레이날도 타구단도<span lang="EN-US">(Reynaldo G. Tagudando)</span>와 해당 지역 기술자인 미쿠눅 막쿠드<span lang="EN-US">(Mikunug D. Macud)</span>와 함께 로사스 대로 부근의 방파제가 태풍에 의해 얼마큼 손상을 입었는지 피해 규모를 파악하고 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성난 블로거들은 이 사진은 정부가 대중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기 위해 꾸며낸 문서라고 비난했다<span lang="EN-US">. </span>이에 고속도로공사는 논란이 되는 해당 사진을 내리고 사과문을 올렸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많은 분들께 불편을 끼쳐드린 점<span lang="EN-US">, </span>거듭 사과드립니다<span lang="EN-US">. </span>앞으로 고속도로 공사의 계획<span lang="EN-US">, </span>프로그램<span lang="EN-US">, </span>프로젝트<span lang="EN-US">, </span>공공 활동 공지에 있어 근면함과 신중함을 발휘할 것을 약속드립니다<span lang="EN-US">. </span>아울러 화질 처리된 사진은 고속 도로 공사가 공식적으로 대중에 공개한 사진이 아니었습니다<span lang="EN-US">. </span>하지만 사진 속 세 명의 인물을 재해 현장 조사를 위해 현장에 파견된 공무원으로서 실제로 현장에 있었음을 말씀드립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하지만 이 내용은 단지 속임수였다<span lang="EN-US">. </span>피에르 알베르트 산 디아고<span lang="EN-US">(Pierre Albert San Diego)</span>는 그가 운영중인<span lang="EN-US"> ‘</span>통제된 혼란<span lang="EN-US">' </span>블로그에 이렇게 밝혔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사진을 재 검토한 결과<span lang="EN-US">, </span>고속도로공 사가 사진을 조작한 것 일라고 결론 내렸다<span lang="EN-US">. </span>솔직히 왜 세 명이 있는 사진과 같이 합치지 않고 굳이 사진을 편집해야했는지는 모른다<span lang="EN-US">. </span>하지만 나의 불손한 추측으로는<span lang="EN-US">, </span>도로공사 공무원들이 자신들이 피해 현장을 둘러보며 골똘이 생각하고 있는 그런 멋진 사진을 상사에게 보여주고 싶었던 것 같다<span lang="EN-US">. </span>그러나 그들이 피해현장에 있었던 시간은 길게 잡아봐야<span lang="EN-US"> 15</span>분으로 그렇게 폼 잡을 시간이 없었기 때문에 포토샵의 올가미툴로 그런 사진을 만들어 낸 것이라 생각한다<span lang="EN-US">. </span>얼마나 서투르게 포토샵되었는지 아래를 보면 확인할 수 있다</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그는 또한 이는 필리핀에<span lang="EN-US"> “</span>느슨하고 부패한 공직 사회 분위기<span lang="EN-US">(utak wangwang)”</span>가 끈질기게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일면이라고 말했다<span lang="EN-US">. </span>아키노 정부는 이러한 분위기를 공무원 사회에서 근절하겠다고 반복적으로 약속한 바 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몇몇 사람들은 이것은 정말 작은 문제에 불과하다고 생각할지 모르나 나는 이것이 고속도로 공사의 진실성 부재를 보여준다고 생각한다<span lang="EN-US">. </span>만약 그들이 이렇게 간단한 것을 조작할 수 있다면<span lang="EN-US">,<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이들이 나중에 공공 업무 요금정산 및 프로젝트 승인에 있어 어떤 것을 조작할지 생각해보라<span lang="EN-US">. </span>약한 비교이지만 이게<span lang="EN-US"> “</span>느슨하고 부패한 공직 사회 분위기<span lang="EN-US">(utak wangwang)”</span>의 전형적인 예 아닌가<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네티즌들은<span lang="EN-US"> DPWHERE</span>라는 페이스북 페이지를<span lang="EN-US"> [</span>역자 주<span lang="EN-US">:</span>도로공사의 영문 이니셜인<span lang="EN-US"> DP</span>와 어디<span lang="EN-US">(where)</span>란 단어를 합쳤다<span lang="EN-US">. </span>해석하자면<span lang="EN-US"> “</span>도로공사 직원들이 어디있을까요<span lang="EN-US">?”</span>정도가 되겠다<span lang="EN-US">) </span>만들고 도로공사 공무원 사진을 합성한 포토샵 사진들을 올리기 시작했다<span lang="EN-US">. </span>아이손 크로니클즈는<span lang="EN-US"> “</span>에디터의 선택<span lang="EN-US">”</span>라는 목록을 만들고 몇 개의 사진을 추려서 여기에 올렸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플롭<span lang="EN-US">(Plop) </span>컬쳐도 또한 재밋는 사진을 게시했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게으른 인디오<span lang="EN-US">'</span>도 그의 독자들에게<span lang="EN-US"> “DPWH meme”[</span>역자주<span lang="EN-US">:”</span>도로 공사 직원들이 어디있을까요<span lang="EN-US">?</span>의 패러디물<span lang="EN-US">”</span>로 해석된다<span lang="EN-US">] </span>참여를 독려를 위한<span lang="EN-US"> 3</span>명의 공무원 사진을 제공하고 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div>
<div style="font-size: 10pt;"><br />저희가 후원받은 냉동식품이 있는데 오늘 냉동 창고가 고장이나서 <div style="font-size: 10pt;"> </div> <div style="font-size: 10pt;">더이상 보관할수가 없어서 오늘중으로 나눠드릴려고 합니다...</div> <div style="font-size: 10pt;"> </div> <div style="font-size: 10pt;">장소 : 마카티 서울식품 옆 골목 필 112 사무실</div> <div style="font-size: 10pt;"> </div> <div style="font-size: 10pt;">주소 : paul c bueno bflr 4986 p. guanzon st poblacion makati city metro manila</div> <div style="font-size: 10pt;"> </div> <div style="font-size: 10pt;"> 444-8945</div> </div>
<div style="font-size: 10pt;"><br />안녕하세요.</div> <div style="font-size: 10pt;"> </div> <div style="font-size: 10pt;">필리핀112입니다.</div> <div style="font-size: 10pt;"> </div> <div style="font-size: 10pt;">저희단체에서 보관중인 냉동식품1톤가량이 현재 냉동창고에보관중이였으나</div> <div style="font-size: 10pt;"> </div> <div style="font-size: 10pt;">냉동창고기계고장으로인하여 더이상보관이어렵습니다.</div> <div style="font-size: 10pt;"> </div> <div style="font-size: 10pt;">그리하여 교민분들에게 무상으로 나누어드릴가합니다.</div> <div style="font-size: 10pt;"> </div> <div style="font-size: 10pt;">저희 필리핀112마카티사무실로 오시면 냉동식품을 무상으로 드리겟습니다.</div> <div style="font-size: 10pt;"> </div> <div style="font-size: 10pt;">약도는 저희카페에 지도로상세하게올렷습니다.</div> <div style="font-size: 10pt;"> </div> <div style="font-size: 10pt;">아래 주소를클릭하면 저희카페게시판으로 이동합니다.보시고 오시면됩니다.</div> <div style="font-size: 10pt;">오실대에는 담아가실 봉지는준비해주십시요..</div> <div style="font-size: 10pt;">주위교민들에게도 알리어서 많은분들이가 져 가셧으면합니다..</div> <div style="font-size: 10pt;"> </div> <div style="font-size: 10pt;">감사합니다.</div> <div style="font-size: 10pt;">필리핀112 봉사원올림</div> <div style="font-size: 10pt;"><a id="linkUrl" class="m-tcol-c url-txt" href="http://cafe.naver.com/ehdghkf/2551" target="_top"><span style="color: #333333;">http://cafe.naver.com/ehdghkf/2551</span></a> <div class="autosourcing-stub"> </div> </div> <div style="font-size: 10pt;"> </div>
<div style="font-size: 10pt;">(베이징=연합뉴스) 신삼호 특파원 = 중국인 해산물 거래업자 1명이 지난 5일 필리핀 남부 타위-타위 지역에서 무장괴한들에게 납치됐다고 <a class="keyword" title="" onmouseover="UI.toolTip(event)"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BD%C5%C8%AD%C5%EB%BD%C5&nil_profile=newskwd&nil_id=v20111007224227958" target="new"><span style="color: #0b09cb;">신화통신</span></a>이 7일 필리핀군 서민다나오 사령부 대변인의 말을 인용, 마닐라발로 보도했다. <br /><br />필리핀군 서민다나오 사령부 대변인 랜돌프 카방방이 제공한 정보에 따르면 성이 `팡'인 중국인 1명이 타위-타위 지역의 시탕카이에서 소총으로 무장한 괴한 4명에게 납치됐다. <br /><br />이 괴한들은 중국인 납치 때 모터보트까지 동원했다. <br /><br />필리핀 경찰은 현재 해군 정보안보단과 공조해 피랍자 구조작전을 펼치고 있다고 카방방은 덧붙였다. <br /><br />필리핀 세부주재 중국 영사도 중국인 피랍사실을 확인했으나 납치된 사람의 성은 `팡'이 아니라 `천'이라고 밝혔다. <br /><br />중국 영사관 측은 자세한 정보를 알기 위해 필리핀 현지 경찰과 긴밀히 연락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br /><br /><br /></div>
<div style="font-size: 10pt;"> <div style="font-size: 10pt;"><br /> <p>안녕하세요</p> <p>KCN 한인 소식입니다</p> <p> </p> <p>10월 첫째주 새로운 한인소식 </p> <p>자세한 소식은 </p> <p> </p> <p>아래의 링크를 클릭해주시면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p> <p>감사합니다^^</p> <p><a href="http://www.gokcn.net/bbs/board.php?bo_table=board4">http://www.gokcn.net/bbs/board.php?bo_table=board4</a></p> <p> </p> <p>(팁!- 쉬프트 키나 컨트롤 키와 함께 링크를 클릭하시면, 링크를 새로운 창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p> <p> </p> <p>현재 보시는 페이지를 벗어나지 않고 뉴스를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p> <p> </p> <p><a href="http://www.gokcn.net/bbs/board.php?bo_table=board4">http://www.gokcn.net/bbs/board.php?bo_table=board4</a></p> </div> </div>
<div style="font-size: 10pt;"> </div> <p><span style="font-size: medium;">안녕하세요 </span></p> <p><span style="font-size: medium;">KCN 뉴스 브리핑입니다 ^^</span></p> <p><span style="font-size: medium;"> 이번주에도 새로운 소식으로 찾아 뵙네요 </span></p> <p><span style="font-size: medium;">자세한 뉴스는 아래의 링크를 클릭해주시면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span></p> <p><span style="font-size: medium;"> 감사합니다^^ </span></p> <p><span style="font-size: medium;"><a href="http://www.gokcn.net/bbs/board.php?bo_table=board3">http://www.gokcn.net/bbs/board.php?bo_table=board3</a></span></p> <p><span style="font-size: medium;"> (팁!- 쉬프트 키나 컨트롤 키와 함께 링크를 클릭하시면,</span></p> <p><span style="font-size: medium;"> 링크를 새로운 창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span></p> <p><span style="font-size: medium;">현재 보시는 페이지를 벗어나지 않고 뉴스를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 </span></p> <p><span style="font-size: medium;">http://www.gokcn.net/bbs/board.php?bo_table=board3</span></p>
<div style="font-size: 10pt;"><br />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서울중앙지법은<span lang="EN-US"> 7</span>일 현대캐피탈 서버에서 고객정보 해킹해 회사에 돈을 요구한 혐의<span lang="EN-US">(</span>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 법률 위반 등<span lang="EN-US">)</span>로 기소된 허 모<span lang="EN-US">(40)</span>씨에 대해 징역<span lang="EN-US"> 2</span>년을 선고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재판부는<span lang="EN-US"> "</span>허 씨가 범행의 일부를 부인하고 있지만 필리핀에서 범행에 사용한<span lang="EN-US"> IP</span>로 인터넷에 접속한 점과 정 모 씨에게 범행에 사용된 계좌 등을 마련해주고<span lang="EN-US">, </span>이를 통해 취득한<span lang="EN-US"> 1</span>억 원을 인출해 필리핀으로 도주한 점 등을 고려하면 설령 범행에 구체적인 모의나 실행이 없었다고 해도 본질적으로 범행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span lang="EN-US">"</span>고 판단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이어<span lang="EN-US"> "</span>범행이 계획적이고 해외의 해커와 공모해 현대캐피탈 측에<span lang="EN-US"> 5</span>억 원을 요구한 점<span lang="EN-US">, </span>범행을 통해 취득한 돈을 직접 인출해 해외로 도주하는 등 죄질이 가볍지 않다<span lang="EN-US">"</span>며<span lang="EN-US"> "</span>이 범행<span lang="EN-US">(</span>고객정보 유출<span lang="EN-US">)</span>으로 인해<span lang="EN-US"> 2</span>차 범행이 우려되는 점 등을 고려해 형을 정했다<span lang="EN-US">"</span>고 양형 이유를 설명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허 씨는 필리핀에 거주하는 해커 신 모 씨와 해커 알선책 정 씨와 함께 지난<span lang="EN-US"> 2</span>월부터<span lang="EN-US"> 4</span>월 사이 서울 서초구 모 피시방 등에서 현대캐피탈 서버에 무단 침입해 고객 약<span lang="EN-US"> 42</span>만 명에 대한 개인정보를 빼낸 혐의로 기소됐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이 과정에서 허 씨는 현대캐피탈 서버에<span lang="EN-US"> 4</span>만<span lang="EN-US">3000</span>여 회에 걸쳐 침입했으며<span lang="EN-US">, </span>현대캐피탈 고객 개인정보는 물론 로그파일<span lang="EN-US">(</span>서버의 통신 기록<span lang="EN-US">) </span>등을<span lang="EN-US"> 1396</span>회에 걸쳐 유출한 것으로 드러났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허 씨는 또 지난<span lang="EN-US"> 4</span>월<span lang="EN-US"> '5</span>억 원을 입금하지 않으면 개인정보 데이터를 인터넷에 유포해 버리겠다<span lang="EN-US">'</span>고 협박해<span lang="EN-US"> 1</span>억 원을 챙긴 것으로 확인됐다<span lang="EN-US">. [</span>데일리경제<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div>
<div style="font-size: 10pt;">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lang="EN-US"><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span><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슈퍼맨을 닮고 싶어 몇 년동안 성형수술을 받은 필리핀 남성이 언론의 화제에 올랐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필리핀 남성 허버트 차베즈<span lang="EN-US">(35)</span>는 집안 곳곳에 슈퍼맨 모형과 사진<span lang="EN-US">, </span>티셔츠 등 슈퍼맨과 관련된 각종 기념품들을 채울정도로<span lang="EN-US"> `</span>슈퍼맨 광<span lang="EN-US">`</span>이라고 필리핀<span lang="EN-US"> abs-cbn </span>방송이<span lang="EN-US"> 4</span>일 보도했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그는 심지어 슈퍼맨의 외모까지 갖고 싶어<span lang="EN-US"> 1995</span>년부터 성형수술을 해왔다<span lang="EN-US">. </span>서양인의 외모를 닮기 위해 코를 높이고<span lang="EN-US">, </span>뺨과 입술을 부풀린 그는 둔부까지 성형하는 등 체형에도 손을 댔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오랜 노력 끝에 차베즈의 외모는 세간으로부터 슈퍼맨과 비슷하게 변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span lang="EN-US">. </span>그의 사진은 해외 누리꾼들 사이에서도 큰 인기를 끌고 있다고 방송은 전했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lang="EN-US">출처: mk news(<a href="news://news.mk.co.kr">news.mk.co.kr</a>)<span lang="EN-US"><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기사입력<span lang="EN-US"> 2011.10.07 11:22:16<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span></span></span></p> </div>
<div style="font-size: 10pt;">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머니투데이 성세희 기자 </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기획재정부<span lang="EN-US">, ADB, KDI, </span>필리핀 한국개발연구원<span lang="EN-US">(KDI) </span>국제정책대학원은<span lang="EN-US"> 7</span>일 필리핀 마닐라 아시아개발은행<span lang="EN-US">(ADB) </span>본부에서<span lang="EN-US"> '</span>한국<span lang="EN-US">(KOREA)-ADB </span>지식공유 콘퍼런스<span lang="EN-US">'</span>를 개최한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이번 회의는<span lang="EN-US"> ADB, </span>기획재정부<span lang="EN-US">, </span>한국수출입은행에서 초청한 지식공유분야 국제기구 전문가와 개발학자 및<span lang="EN-US"> ADB </span>관계자 등<span lang="EN-US"> 200</span>여명이 참석한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이번 회의에서는 수원국의 주인의식과 공여국간 원조 조화를 중심으로 주요 사례를 소개하고 토론자가 의견을 내는 형식으로 진행한다<span lang="EN-US">. </span>수원국은 국제협력에서 원조를 제공받는 나라를 뜻한다<span lang="EN-US">. </span>또한 주요 연사가 참가자 질의에 응답하고 함께 토론할 예정이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정부는 경제발전공유사업<span lang="EN-US">(KSP)</span>을 소개할 예정이다<span lang="EN-US">. KSP</span>는 한 국가가 주도해 체계적 프로그램으로 진행하는 지식공유 활동이다<span lang="EN-US">. </span>주요 사업내용은 크게<span lang="EN-US"> △</span>발전경험 모듈화 사업<span lang="EN-US"> △</span>정책자문사업<span lang="EN-US"> △</span>국제기구 공동 컨설팅 사업이 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lang="EN-US">KDI </span>관계자는<span lang="EN-US"> "</span>지난해부터 재정부와 공동으로 모범적인 발전경험 정책사례<span lang="EN-US"> 100</span>개를 선정해 정리하는<span lang="EN-US"> '</span>발전경험 모듈화 사업<span lang="EN-US">'</span>을 수행하고 있다<span lang="EN-US">"</span>며<span lang="EN-US"> "</span>이러한 세미나 등을 통해 개발도상국 정책담당자에게 지식을 제공하고 정책연수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것<span lang="EN-US">"</span>이라고 밝혔다<span lang="EN-US">.</span></span></p> </div>
<p class="MsoNormal"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lang="EN-US"><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span><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lang="EN-US"><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글로컬 시대의 뉴리더<span lang="EN-US">’</span>를 슬로건으로 내건 제주대학교가 필리핀에<span lang="EN-US"> ELS(English As a Second Language:</span>어학연수<span lang="EN-US">) </span>교두보를 마련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font-size: 1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허향진 제주대총장은 지난<span lang="EN-US"> 2</span>일부터<span lang="EN-US"> 5</span>일까지 필리핀을 방문하고 세인트폴대학 및 센트럴 필리핀 대학에<span lang="EN-US"> ‘</span>해외교육센터<span lang="EN-US">’</span>를 설치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font-size: 1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현재 제주대는 필리핀 소재 우수 대학과 교류수학 파견 프로그램을 운영중이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font-size: 1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필리핀 마닐라 소재 세인트폴 대학에<span lang="EN-US"> 26</span>명<span lang="EN-US">, </span>센트럴 필리핀대학에<span lang="EN-US"> 60</span>명 등 총<span lang="EN-US"> 86</span>명의 학생이 파견돼 어학연수를 받고 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font-size: 1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제주대는 이번 협약을 통해 재학생들의 국제적인 전문지식과 어학능력을 갖춘 글로벌 인재양성을 위해 해외 대학 교류수학 파견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span lang="EN-US">.</span></span></p> <p>김정호 기자 / 저작권자 ⓒ 미디어제주</p> <p> </p> <div style="font-size: 10pt;"> </div>
<div style="font-size: 10pt;"><br /><a h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635657&CMPT_CD=P0000">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635657&CMPT_CD=P0000</a></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