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v style="font-size: 10pt;"><br />(AP=연합뉴스) 5일(현지시간) 필리핀 마닐라 북부 불라칸주(州)의 홍수 피해지역에서 주민들이 작은 배에 관을 싣고 물속을 헤치며 걷고 있다. <br /><br />(끝) <br /><br /><br /><br /> <div class="GS_conC" style="width: 500px;"> <p class="ph"><img src="http://i2.media.daumcdn.net/photo-media/201110/06/yonhap/20111006115329776.jpg" alt="" width="500" /></p> </div> </div>
<div style="font-size: 10pt;">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lang="EN-US">[</span>마닐라 이기근 기자<span lang="EN-US">] </span>지난달<span lang="EN-US"> 22</span>일<span lang="EN-US">, </span>민다나오의 수리가오 주립대학에서 한국국제협력단<span lang="EN-US">(KOICA)</span>이 지원하고<span lang="EN-US"> KOICA </span>해외봉사단<span lang="EN-US">(World Friends Korea) </span>이장호 단원<span lang="EN-US">(</span>컴퓨터 분야<span lang="EN-US">)</span>이 주관한<span lang="EN-US"><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수리가오 주립대학 내부전산망구축 사업<span lang="EN-US">(Intranet Project of SUrigao State College of Technology)' </span>기증식이 열렸다<span lang="EN-US">. <span style="mso-tab-count: 2;"> </span></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기증식에는 지역사회 및 학교관계자들이 참석했으며<span lang="EN-US">, </span>식전 행사로는 재학생들이 필리핀 전통춤인 대나무를 활용한 티니클링<span lang="EN-US">(Tinikling) </span>등의 전통무예를 선보이며 기증식의 흥을 더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lang="EN-US">6</span>개월간의 사전조사 및 사업계획 후<span lang="EN-US">, </span>올<span lang="EN-US"> 1</span>월부터<span lang="EN-US"> 10</span>개월간 진행된 본 사업은<span lang="EN-US"> ▲</span>대학 내 인트라넷 구축<span lang="EN-US"> ▲</span>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소프트웨어 설치<span lang="EN-US"> ▲</span>대학 웹사이트 개발을 위한 플랫폼 구축<span lang="EN-US"> ▲</span>전자도서관 시스템 개발 및 시행 등을 주요목적으로 진행됐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이에 따라 그 동안 수작업으로 진행되어 비효율적이고 부정확했던<span lang="EN-US"> 6,000</span>여명 학생들의 학사관리가 전산화될 예정이며<span lang="EN-US">. </span>특히 열악한 교육환경으로 인해 이론교육에 치우쳐있던 컴퓨터 학과의 교육과정을 실용적인 실습위주의 교육으로 전환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span lang="EN-US">.<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수리가오 주립대학의 젬파로<span lang="EN-US">(Gloria C. Gemparo) </span>학장은 인사말에서<span lang="EN-US"> "</span>수년간 실무경험이 있는 노련한 시니어봉사단원을 통해 학내에 인트라넷을 구축하게 됨을 영광으로 생각한다<span lang="EN-US">"</span>며 이장호 단원의 그간의 노고를 치하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또<span lang="EN-US"> KOICA </span>필리핀 사무소 김진오 소장은 환영사를 통해<span lang="EN-US"> "KOICA</span>의 인적ㆍ물적 및 기술력을 통해 학생들의 수학환경이 향상됨을 기쁘게 생각한다<span lang="EN-US">"</span>고 말하며<span lang="EN-US">, "</span>단원활동을 통한 끊임없는 지원으로 학생들의 꿈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고<span lang="EN-US">"</span>전했다<span lang="EN-US">. [</span>아세안투데이<span lang="EN-US">]</span></span><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div>
<div style="font-size: 10pt;">(AP=연합뉴스) 2일(현지시간) 필리핀 북부 노바타스의 한 해안마을에서 주민들이 홍수로 무너진 주택을 살펴보고 있다. <br /><br />(끝) <br /><br /><br /><br /> <div class="GS_conC" style="width: 500px;"> <p class="ph"><img src="http://i2.media.daumcdn.net/photo-media/201110/03/yonhap/20111003102248014.jpg" alt="" width="500" /></p> </div> </div>
<div style="font-size: 10pt;">(AP=연합뉴스) 2일(현지시간) 필리핀 마닐라 북부의 불라칸주(州)의 한 마을에서 구조 작업을 위해 동원된 해군 차량이 물로 뒤덮인 도로를 달리고 있다. <br /><br />(끝) <br /><br /><br /><br /> <div class="GS_conC" style="width: 500px;"> <p class="ph"><img src="http://i2.media.daumcdn.net/photo-media/201110/03/yonhap/20111003105416434.jpg" alt="" width="500" /></p> </div> <script type="text/javascript">// <![CDATA[ /*<![CDATA[*/GS_con();/*]]>*/ // ]]></script> <!--// 기사 내용 news_content --></div>
<div style="font-size: 10pt;"><br />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size: 14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필리핀관광청은 지난<span lang="EN-US"> 10</span>월<span lang="EN-US"> 1</span>일부터<span lang="EN-US"> 3</span>일까지<span lang="EN-US"> 2011 </span>아세안 문화관광축제<span lang="EN-US"> (ASEAN Culture & Tourism Fair 2011)</span>에 참가해 성황리에 마쳤습니다<span lang="EN-US">. </span>신도림 디큐브 시티 디큐브 파크 야외광장에서 열린 이번 아세안 문화 관광 축제는 필리핀을 포함 아세안<span lang="EN-US"> 10</span>개국의 전통공연<span lang="EN-US">, </span>고유 문화 그리고 관광정보를 모두 한 곳에서 접할 수 있는 종합문화관광축제로 올해로<span lang="EN-US"> 3</span>회째 열리는 문화축제입니다<span lang="EN-US">. </span></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size: 14pt;"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size: 14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각 나라 별 전통 공연단들이 한국을 방문하여 전통 노래<span lang="EN-US">, </span>춤<span lang="EN-US">, </span>악기 연주 등을 선보이게 되며 필리핀도 전통 공연단이 참여하여 매일 열정적인 공연을 선보였습니다<span lang="EN-US">. </span>지난 부산국제관광전에서 환상적인 퍼포먼스로 큰 인기를 얻었던 필리핀 공연단<span lang="EN-US">, </span>반다카와얀<span lang="EN-US"> (Banda Kawayan)</span>이 매일 참관객을 위한 공연을 펼쳤으며 나라별 공연단 중 가장 큰 규모로 참여 하여 웅장한 퍼포먼스로 많은 관람객들의 호응을 얻었습니다<span lang="EN-US">. </span></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size: 14pt;"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size: 14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또한<span lang="EN-US">, </span>필리핀 음식 홍보관에서는 필리핀의 전통 음식인 뚜론<span lang="EN-US">(</span>바나나튀김<span lang="EN-US">)</span>과 바나나 케익<span lang="EN-US">, </span>룸삐아<span lang="EN-US">, </span>판씻<span lang="EN-US">(</span>면<span lang="EN-US">), </span>마자 블랑카<span lang="EN-US">, </span>신선한 부코 주스<span lang="EN-US">(</span>코코넛쥬스<span lang="EN-US">) </span>등을 판매하였고 필리핀 부스에서는 필리핀 망고 주스를 무료로 제공하여 참관객들이 필리핀 음식을 맛보는 즐거운 시간을 가졌습니다<span lang="EN-US">. </span></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size: 14pt;"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size: 14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이와 함께 필리핀관광청 부스에서는 매일 색다른 이벤트가 펼쳐 졌습니다<span lang="EN-US">. </span>필리핀 티셔츠<span lang="EN-US">, </span>말린 망고<span lang="EN-US">, </span>액자<span lang="EN-US">, </span>티셔츠<span lang="EN-US">, </span>핸드폰 클리너<span lang="EN-US">, </span>필리핀 쇼핑백 등 경품이 쓰여진 종이를 즉석 추첨하는 방식의 이벤트를 통해 경품이 지급 되었습니다<span lang="EN-US">. </span></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size: 14pt;"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size: 14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또 다른 이벤트는 추첨권에 신상명세를 작성하여 응모하는 방식으로 행사 마지막 날 경품 추첨이 이루어져 당첨자<span lang="EN-US"> 2</span>명에게 필리핀 항공과 세부퍼시픽 항공에서 제공하는 왕복 항공권과 임페리얼 팰리스 워터파크 리조트 앤 스파와 마닐라 하얏트 호텔 앤 카지노에서 제공하는 숙박권이 제공되었습니다<span lang="EN-US">. </span></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size: 14pt;"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size: 14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필리핀 관광청의 마리콘 바스코 에브론 한국지사장은<span lang="EN-US"> '</span>이번 아세안 문화 관광 축제를 통해 필리핀 전통 노래<span lang="EN-US">, </span>춤과 같은 고유 문화를 좀 더 깊게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span lang="EN-US">.'</span>고 말하며<span lang="EN-US">, '</span>앞으로도 좀 더 다양한 필리핀 문화를 알릴 수 있도록 체험 기회를 극대화 하겠다 전했습니다<span lang="EN-US">.</span></span></span></p> </div>
<div style="font-size: 10pt;"> <p class="title_article2"> </p> <!--<p class="title_article3">필리핀, 9월 CPI 상승률 4.8%</p>--> <div class="info_article"><span class="count"><iframe src="http://118.107.164.6/count/get_count.php?idxno=2011100510303431004&type=3&code=03.19.01&outdate=20111005104048&ref_name=STOO&user_id=" frameborder="0" scrolling="no" width="0" height="0"></iframe></span></div> <div id="fade_ad_postion"> <div class="article"><!--KWCM_CONTENT_START_1-->[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div> <div class="article"> </div> <div class="article">필리핀의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4.8%를 기록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5일 보도했다.<br /><br />8월 상승률인 4.7% 보다도 높게 나왔다. 수도·전기·가스 같은 공공요금과 교통비가 인상된 것이 9월 물가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여기에 필리핀 통화인 페소의 가치 하락과 태풍으로 인한 물류 운송 차질도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였다.<br /><br />그러나 유럽 부채 문제로 세계 경제성장 둔화를 우려한 각국 중앙은행과 마찬가지로 필리핀 중앙은행도 연말까지 금리인상을 보류할 가능성이 크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br /><br />지난달 필리핀 중앙은행은 기준금리 동결 결정을 발표해 금리를 4.5% 수준에서 3개월 연속 유지하고 있다.<br /><br /><br /></div> </div> </div>
<div style="font-size: 10pt;">(AP=연합뉴스) 4일(현지시간) 필리핀 마닐라 북부에서 주민들이 지역정부가 배급한 긴급구호식량을 받아 들며 환하게 웃고 있다. 두 차례의 태풍이 휩쓸고 간 북부의 팜팡가ㆍ불라칸주(州)에서는 홍수로 60여명이 숨지고 많은 가옥이 물에 잠겼다. <br /><br />(끝) <br /><br /><br /><br /> <div class="GS_conC" style="width: 500px;"> <p class="ph"><img src="http://i2.media.daumcdn.net/photo-media/201110/05/yonhap/20111005110205918.jpg" alt="" width="500" /></p> </div> </div>
<div style="font-size: 10pt;">(타이베이=연합뉴스) 류성무 특파원 = <a class="keyword" title="" onmouseover="UI.toolTip(event)"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B1%DB%B7%CE%B8%AE%BE%C6+%BE%C6%B7%CE%BF%E4&nil_profile=newskwd&nil_id=v20111004170257921" target="new"><span style="color: #0b09cb;">글로리아 아로요</span></a> 필리핀 전 대통령이 지난 2007년 총선 당시 선거 부정에 개입한 정황이 포착돼 필리핀 당국이 조사를 벌이고 있다. <br /><br />필리핀 <a class="keyword" title="" onmouseover="UI.toolTip(event)"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BC%B1%B0%C5%B0%FC%B8%AE%C0%A7%BF%F8%C8%B8&nil_profile=newskwd&nil_id=v20111004170257921" target="new"><span style="color: #0b09cb;">선거관리위원회</span></a>는 선거결과 조작 의혹이 제기된 <a class="keyword" title="" onmouseover="UI.toolTip(event)"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B9%CE%B4%D9%B3%AA%BF%C0%BC%B6&nil_profile=newskwd&nil_id=v20111004170257921" target="new"><span style="color: #0b09cb;">민다나오섬</span></a> 마구인다나오 주(州)의 전 행정관과 당시 선거 사무원 14명, 컴퓨터 기술자 1명 등으로부터 "실제 선거결과가 조작됐다"는 진술을 최근 확보했다고 밝혔다고 필리핀 데일리 인콰이어러 등 현지 언론들이 4일 전했다. <br /><br />보도에 따르면 지난 2001년부터 2009년까지 마구인다나오 주의 행정관으로 근무한 노리 우나스씨는 최근 선관위에 제출한 6장의 진술서에서 2007년 총선 직전 주지사 등과 함께 말라카냥 대통령궁 만찬에 초청됐으며 이 자리에서 '선거조작 지시'가 있었다고 밝혔다. <br /><br />그는 "여당 소속 후보자들이 대거 당선되도록 선거결과를 만들라는 내용이었다"고 진술했다. <br /><br />우나스는 대통령궁을 떠나기 전 아로요 전 대통령이 당시 주지사를 불러 한차례 더 이를 지시했다고 덧붙였다. <br /><br />선관위는 또 선거 사무원 등 '양심 선언자'들의 명단을 제시하면서 이들로부터도 선거결과가 직접적으로 조작되는 과정을 목격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br /><br />필리핀 법무부는 우나스의 진술이 그동안 의혹으로만 제기돼온 아로요의 선거 부정 개입 의혹과 관련된 첫번째 직접적인 목격 진술이라고 보고 관련 수사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br /><br />법무부는 아울러 지난 2004년 총선의 부정 의혹에 대해서도 조사할 계획이다. <br /><br /><br /></div>
<div style="font-size: 10pt;"> </div>
<div style="font-size: 10pt;"> </div>
<div style="font-size: 10pt;"> </div>
<div style="font-size: 10pt;"><br />【마닐라(필리핀)=신화/뉴시스】최성욱 기자 = 필리핀 <a class="keyword" title="" onmouseover="UI.toolTip(event)"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B9%CE%B4%D9%B3%AA%BF%C0%BC%B6&nil_profile=newskwd&nil_id=v20111001210708752" target="new"><span style="color: #0b09cb;">민다나오섬</span></a>에서 규모 5.6의 지진이 발생했다. <br /><br />필리핀 화산 및 지진학 연구소(Phivolcs)는 1일 오후 12시21분께(현지시간) 민다나오섬 <a class="keyword" title="&gt;검색하기" onmouseover="UI.toolTip(event)"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B6%F3%B3%AA%BF%C0%B5%A8%BC%F6%B8%A3%C1%D6&nil_profile=newskwd&nil_id=v20111001210708752" target="new"><span style="color: #0b09cb;">라나오델수르주</span></a> 인근 해역에서 규모 5.6의 지진이 관측됐다고 밝혔다. <br /><br />아직까지 이번 지진으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는 보고되지 않고 있다. 쓰나미 경보도 발령되지 않았다. <br /><br />필리핀은 '불의 고리'로 불리는 <a class="keyword" title="&gt;검색하기" onmouseover="UI.toolTip(event)"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C8%AF%C5%C2%C6%F2%BE%E7+%C1%F6%C1%F8%B4%EB&nil_profile=newskwd&nil_id=v20111001210708752" target="new"><span style="color: #0b09cb;">환태평양 지진대</span></a>에 위치해 있어 하루 평균 20~25차례의 지진이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주민들이 감지하지 못하는 수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br /><br />한편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이번 지진 규모를 5.1로 보고했다. <br /><br /></div>
<div style="font-size: 10pt;">(서울=연합뉴스) 김계연 기자 = 경찰청 외사수사과는 강도살인 혐의로 수배된 용의자들이 필리핀에서 한국인 관광객을 상대로 납치 행각을 벌인 사실을 확인하고 추적 중이라고 1일 밝혔다. <br /><br />경찰은 지난 5월 필리핀에서 한국인 배낭여행객 A(32)씨를 펜션으로 끌고 가 협박, 국내에 있는 가족에게서 2천여만원을 송금받아 가로챈 일당 가운데 최모(45)씨 등 3명이 2007년 7월 안산에서 발생한 '환전소 살인사건'의 용의자들과 동일 인물인 것으로 보고 있다. <br /><br />경찰은 8월말 필리핀에서 검거된 공범 김모(38)씨를 통해 이러한 사실을 확인하고 <a class="keyword" title="&gt;검색하기" onmouseover="UI.toolTip(event)"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C0%CE%C5%CD%C6%FA&nil_profile=newskwd&nil_id=v20111001215509085" target="new"><span style="color: #0b09cb;">인터폴</span></a>과 공조해 최씨 등을 쫓고 있다. <br /><br />경찰 관계자는 "최씨 등은 2007년 사건 직후 필리핀으로 도주했다. 8월에도 현지에서 같은 수법으로 피해를 본 한국인 관광객이 있는데 이들이 모두 연루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br /><br /><br /></div>
<div style="font-size: 10pt;"><br />< 8뉴스 > <br /><br />< 앵커 > <br /><br />필리핀에서 우리 관광객을 납치해 돈을 요구하는 사건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취재진이 납치단의 지문을 입수해 확인했더니 결과가 놀라웠습니다. <br /><br />최호원 기자입니다. <br /><br />< 기자 > <br /><br />한국 관광객이 하루 1천 명 이상 입국한다는 필리핀 세부입니다. <br /><br />지난 5월 배낭여행으로 이곳을 찾은 강 모 씨는 한국인 괴한들에게 삼 일간 납치를 당했습니다. <br /><br />[강모 씨/필리핀 납치피해자 : 옷을 다 벗고, 쇠사슬을 다 채우고, '(당신은) 납치됐습니다'하면서 칼이 같이 움직였어요.] <br /><br />강 씨는 한국 가족들에게 부탁해 2천만 원을 송금해준 뒤에야 겨우 풀려날 수 있었습니다. <br /><br />사건의 시작은 인터넷 쪽지였습니다. <br /><br />[(인터넷) 게시판에 글을 올렸거든요. (필리핀) 여행을 간다. 출국하기 전날, 그러니까 '같이 만나서 우리 여행할 생각있느냐'고 하면서…] <br /><br />쪽지를 보낸 사람은 대기업 직원이라는 이 모 씨. <br /><br />강 씨는 세부에서 이 씨 등 남성 4명을 만났습니다. <br /><br />하지만 이틀 만에 이들은 납치단으로 돌변했습니다. <br /><br />이렇게 이메일과 인터넷 쪽지에 속아 납치 피해를 당한 사람들은 3~4년간 8, 9명에 이릅니다. <br /><br />[박모 씨/필리핀 납치피해자 : 시간이 맞으면 (현지에서) 맥주나 한잔 하자 이런 가벼운 인사 정도 뭐 이런 (인터넷) 댓글 쪽지가 많거든요.] <br /><br />취재진은 피해자들을 통해 납치단의 지문 일부를 채취하는데 성공했습니다. <br /><br />지문은 경찰 과학수사팀에 넘겨졌습니다. <br /><br />조사 결과는 놀라웠습니다. <br /><br />지문의 주인공은 지난 2007년 한국에서 강도살인을 벌인 뒤 사라진 용의자 최세용으로 확인됐습니다. <br /><br />필리핀 특별수사국과 함께 현지에서 이들을 추적했습니다. <br /><br />[필리핀 주민 : 사장이라는 사람이 와서 임대 계약서에 사인을 했어요.] <br /><br />[필리핀 주민 : 지난달 온 것 같아요. 저기에 주차했어요.] <br /><br />한국 범죄자들이 필리핀으로 넘어와 납치까지 벌이자, 현지 교민들도 불안감을 감추지 못합니다. <br /><br />[한국 교민 : 무슨파 건달들이라고 해서 (한국에서) 살인하고, (필리핀에) 들어온 사람들 5-6명이 활개를 치고 다녀요.] <br /><br />경찰은 필리핀 경찰과의 공조 수사를 통해 계속 이들을 뒤쫓고 있습니다. <br /><br />하지만 이들 이외에도 비슷한 납치 조직이 활동할 가능성도 있어 필리핀 관광객들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br /><br /></div> <div style="font-size: 10pt;"><a href="http://media.daum.net/foreign/view.html?cateid=100000&cpid=73&newsid=20111001211512341&p=sbsi">http://media.daum.net/foreign/view.html?cateid=100000&cpid=73&newsid=20111001211512341&p=sbsi</a></div>
<div style="font-size: 10pt;"><br />제발 하루빨리 잡히길바랍니다</div> <div style="font-size: 10pt;"> </div> <div style="font-size: 10pt;">실종되신분도 무사하시길 ...</div>
<div style="font-size: 10pt;">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MBN 뉴스 기사입력기사 공유하기</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필리핀 이슬람 무장세력이 남부의 정부군 초소를 급습하면서 양측에서 모두<span lang="EN-US"> 15</span>명이 숨졌습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군 당국은 약<span lang="EN-US"> 50</span>명의 무장괴한이 졸로 섬의 해병대 초소를 공격했지만 격퇴됐다고 전했습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교전으로 해병<span lang="EN-US"> 2</span>명이 사망했고 이슬람 반군은<span lang="EN-US"> 13</span>명이 숨졌습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해병대 초소를 습격한 괴한들은 이슬람 과격단체<span lang="EN-US"> '</span>아부 사이야프<span lang="EN-US">'</span>와 연계된<span lang="EN-US"> '</span>아위이야<span lang="EN-US">' </span>혹은<span lang="EN-US"> '</span>아울리야<span lang="EN-US">'</span>로 알려진 그룹의 대원들입니다<span lang="EN-US">.</span></span></p> </div>
<div style="font-size: 10pt;">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필리핀 표적 납치의 진실</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심현정 기자<span lang="EN-US"> <a href="mailto:hereiam@chosun.com">hereiam@chosun.com</a>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lang="EN-US">SBS '</span>그것이 알고 싶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필리핀 세부를 여행하던 노모씨는 정체 모를 괴한에게 납치됐다<span lang="EN-US">. </span>괴한들은 노씨를 쇠사슬로 묶어 놓고<span lang="EN-US"> "</span>우리는 북에서 온 공작원이다<span lang="EN-US">. </span>공작금을 대든지 죽든지 선택하라<span lang="EN-US">"</span>고 협박했다<span lang="EN-US">. 60</span>여 시간을 감금당한 노씨는 한국에 연락해 이들에게 돈을 송금하도록 했고 이후 풀려났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lang="EN-US">SBS TV '</span>그것이 알고 싶다<span lang="EN-US">'</span>는<span lang="EN-US"> 1</span>일 밤<span lang="EN-US"> 11</span>시<span lang="EN-US"> '</span>필리핀 관광객 표적 납치<span lang="EN-US">'</span>를 방송한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lang="EN-US"><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제작진은 노씨와 같이 납치 후 돈을 갈취당한 사람들이 여럿임을 알아냈다<span lang="EN-US">. </span>이 지역 여행자들 사이에서는<span lang="EN-US"> 2008</span>년부터 이미 납치와 관련된 흉흉한 소문이 돌고 있었다<span lang="EN-US">. </span>수법은 비슷했다<span lang="EN-US">. </span>자유여행객을 대상으로<span lang="EN-US"> '</span>동행을 찾는다<span lang="EN-US">'</span>는 쪽지를 돌리고 이를 보고 찾아온 사람의 눈을 가리고 돈을 요구하는 것<span lang="EN-US">. </span>납치범들은 흔적을 남기지 않기 위해 협박으로 뜯어낸 지폐 한 장 한 장을 닦아 지문을 없앨 정도로 치밀했다<span lang="EN-US">. </span>하지만 지난<span lang="EN-US"> 8</span>일 납치 조직원 중 한 명이 체포되면서 조직의 정체가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span lang="EN-US">. </span>제작진은 필리핀 경찰과 함께 추적한 끝에 이들이 일당<span lang="EN-US"> 4</span>명의 조직으로 평상시엔 사업가 행세를 하며 교민들 사이에 섞여 지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span lang="EN-US">. </span>납치범들이 여행객의 환심을 사기 위해 건넨 기념품 포장 비밀에 남긴 지문을 분석한 결과 이들은<span lang="EN-US"> 2007</span>년 안양 환전소 여직원을 살해하고 도주한 용의자였다<span lang="EN-US">. </span>작년<span lang="EN-US"> 10</span>월 납치된 것으로 추정되는 공군 장교 윤씨는 실종된 상태다<span lang="EN-US">. </span></span></p> </div>
<div style="font-size: 10pt;">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의회는 경제 조항에 집중하기로</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By Cynthia D. Balana<span style="mso-tab-count: 1;"> </span>Philippine Daily Inquirer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상원과 하원은 헌법의 특정 경제 조항 개정을 위해 양원의 헌법 제정단을 통한 방법을 사용하기로 원칙적으로 합의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lang="EN-US">Pasig </span>시에서 진행한 입법부 회담의 마지막 날 상원과 하원의 수장들이 공동으로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상원의원<span lang="EN-US"> Franklin Drilon</span>은 상원의장<span lang="EN-US"> Juan Ponce Enrile</span>과 하원의장<span lang="EN-US"> Feliciano Belmonte</span>가 양원이 헌장 개정에 대한 의안에 각각 따로 투표하는 자신의 제안에 동의했다고 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그러나 기획예산부 장관<span lang="EN-US"> Florencio Abad</span>는 헌법 개정이<span lang="EN-US"> Benigno Auino III </span>정권의 우선순위가 아니라는 대통령의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기자들에게 말했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lang="EN-US">Drilon</span>은 예전부터 헌장 개정을 위한 다양한 노력에 대해 이야기하며 헌법 개정의 세 가지 요건 중 두 가지인 헌법 제정단과 제정 회의 소집이 헌법의 일부분이 아닌 전체에 대한 개정이 될 것을 두려워해 쉽게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언급했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헌법 개정을 위한 세 번째 요건은 국민발안이다<span lang="EN-US">. </span></span><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lang="EN-US">Aquino </span>대통령이 속한 자유당의 일원인<span lang="EN-US"> Drilon</span>은 헌법 개정이 합동 투표<span lang="EN-US">, </span>혹은 분리 투표로 인해 지역주의가 자리잡을 것을 사회 여러 분야에서 우려하는 것에 대해 상원의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고 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lang="EN-US">Drilon</span>은 그러나 헌법 제정단에서 각 의원은 하나의 투표권만 가질 것이라고 했다<span lang="EN-US">. </span>이렇게 할 경우<span lang="EN-US">, </span>인원수가 더 많은 하원에게 유리하며<span lang="EN-US">, </span>상원의원들은 이런 상황이 견제와 균형 원칙에 어긋나는 것이 아닌지 걱정하고 있다고 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모든 상원의원과 하원의원은 일반 법안과 동일하게 개정안을 제청할 수 있으며<span lang="EN-US">, </span>제청된 의안은 각 위원회 혹은 전체 위원회 심의로 넘어가고 헌법의 구조나 재임기간에 대한 부분은 개정되지 않고 경제 조항에 대해서만 개정이 이루어지게 된다<span lang="EN-US">. </span></span></p> </div>
<div style="font-size: 10pt;"> <p class="MsoNormal" style="text-align: left; line-height: 18pt; margin: 0cm 0cm 0pt; text-autospace: ideograph-numeric; word-break: keep-all; mso-pagination: widow-orphan;" align="left"> </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굴림; color: #2f2f2f; font-size: 11pt;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 lang="EN-US">(</span><span style="font-family: 굴림; color: #2f2f2f; font-size: 11pt;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서울<span lang="EN-US">=</span>연합뉴스<span lang="EN-US">) </span>김계연 기자<span lang="EN-US"> = </span>경찰청 외사수사과는 강도살인 혐의로 수배된 용의자들이 필리핀에서 한국인 관광객을 상대로 납치 행각을 벌인 사실을 확인하고 추적 중이라고<span lang="EN-US"> 1</span>일 밝혔다<span lang="EN-US">.<br /><br /> </span>경찰은 지난<span lang="EN-US"> 5</span>월 필리핀에서 한국인 배낭여행객<span lang="EN-US"> A(32)</span>씨를 펜션으로 끌고 가 협박<span lang="EN-US">, </span>국내에 있는 가족에게서<span lang="EN-US"> 2</span>천여만원을 송금받아 가로챈 일당 가운데 최모<span lang="EN-US">(45)</span>씨 등<span lang="EN-US"> 3</span>명이<span lang="EN-US"> 2007</span>년<span lang="EN-US"> 7</span>월 안산에서 발생한<span lang="EN-US"> '</span>환전소 살인사건<span lang="EN-US">'</span>의 용의자들과 동일 인물인 것으로 보고 있다<span lang="EN-US">.<br /><br /> </span>경찰은<span lang="EN-US"> 8</span>월말 필리핀에서 검거된 공범 김모<span lang="EN-US">(38)</span>씨를 통해 이러한 사실을 확인하고 인터폴과 공조해 최씨 등을 쫓고 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굴림; color: #2f2f2f; font-size: 11pt;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 lang="EN-US"> </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굴림; color: #2f2f2f; font-size: 11pt;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 lang="EN-US"> </span></p> <span style="font-family: 굴림; color: #2f2f2f; font-size: 11pt;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 mso-ansi-language: EN-US; mso-fareast-language: KO; mso-bidi-language: AR-SA;">경찰 관계자는<span lang="EN-US"> "</span>최씨 등은<span lang="EN-US"> 2007</span>년 사건 직후 필리핀으로 도주했다<span lang="EN-US">. 8</span>월에도 현지에서 같은 수법으로 피해를 본 한국인 관광객이 있는데 이들이 모두 연루된 것으로 추정된다<span lang="EN-US">"</span>고 말했다<span lang="EN-US">.</span></span></div>
<div style="font-size: 10pt;">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태풍<span lang="EN-US"> '</span>네삿<span lang="EN-US">'</span>에 이어 태풍<span lang="EN-US"> '</span>날개<span lang="EN-US">'</span>가 필리핀을 강타해 산사태와 통신 두절 등 피해가 잇따르고 있습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현지시각으로 오늘 오전 태풍<span lang="EN-US"> '</span>날개<span lang="EN-US">'</span>는 시속<span lang="EN-US"> 160km</span>의 속도로 필리핀 이사벨라와 오로라 지역 해안가에 상륙해 주민 수천 명이 대피했습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제<span lang="EN-US">19</span>호 태풍 날개는 필리핀 남서부에서 폭우를 동반할 것으로 예상돼 이미 태풍 네삿으로 큰 피해를 입은 루손 섬 등에 추가 피해가 우려되고 있습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홍상희<span lang="EN-US"> [san@ytn.co.kr]</span></span></p> </div>
<div style="font-size: 10pt;">【마닐라(필리핀)=AP/뉴시스】30일(현지시각) 필리핀 마닐라 북부 불라칸주 칼룸핏 마을에 태풍 네삿의 영향으로 홍수가 발생한 가운데 주민들이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고 있다. <br /><br /><br /> <div class="GS_conC" style="width: 500px;"> <p class="ph"><img src="http://i2.media.daumcdn.net/photo-media/201109/30/newsis/20110930223416518.jpg" alt="" width="500" /></p> </div> </div>
<div style="font-size: 10pt;">【마닐라(필리핀)=AP/뉴시스】30일(현지시각) 필리핀 마닐라 북부 불라칸주 칼룸핏 마을에 태풍 네삿의 영향으로 홍수가 발생한 가운데 자원봉사자들이 주민들의 대피를 돕고 있다. <br /><br /><br /><br /> <div class="GS_conC" style="width: 500px;"> <p class="ph"><img src="http://i2.media.daumcdn.net/photo-media/201109/30/newsis/20110930223420469.jpg" alt="" width="500" /></p> </div> </div>
<div style="font-size: 10pt;">【마닐라(필리핀)=AP/뉴시스】30일(현지시각) 필리핀 마닐라 북부 불라칸주 칼룸핏 마을에 태풍 네삿의 영향으로 홍수가 발생한 가운데 자원봉사자들이 주민들의 대피를 돕고 있다. <br /><br /><br /><br /> <div class="GS_conC" style="width: 500px;"> <p class="ph"><img src="http://i2.media.daumcdn.net/photo-media/201109/30/newsis/20110930223423684.jpg" alt="" width="500" /></p> </div> </div>
<div style="font-size: 10pt;"><br />【마닐라(필리핀)=AP/뉴시스】30일(현지시각) 필리핀 마닐라 북부 불라칸주 칼룸핏 마을에 태풍 네삿의 영향으로 홍수가 발생한 가운데 주민들이 애완견과 함께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고 있다. <br /><br /><br /><br /> <div class="GS_conC" style="width: 500px;"> <p class="ph"><img src="http://i2.media.daumcdn.net/photo-media/201109/30/newsis/20110930223513014.jpg" alt="" width="500" /></p> </div> </div>
<div style="font-size: 10pt;">【마닐라(필리핀)=AP/뉴시스】30일(현지시각) 필리핀 마닐라 북부 불라칸주 칼룸핏 마을에 태풍 네삿의 영향으로 홍수가 발생한 가운데 남자들이 여자와 어린이들을 고무보트에 태운 채 안전한 곳으로 대피시키고 있다. <br /><br /><br /><br /> <div class="GS_conC" style="width: 500px;"> <p class="ph"><img src="http://i2.media.daumcdn.net/photo-media/201109/30/newsis/20110930223516440.jpg" alt="" width="500" /></p> </div> <script type="text/javascript">// <![CDATA[ /*<![CDATA[*/GS_con();/*]]>*/ // ]]></script> <!--// 기사 내용 news_content --></div>
<h4 id="GS_con_tit_sub" style="font-size: 10pt;">"영유권 놓고 소동 피우는 베트남·필리핀 과감히 공격… 닭을 죽여 원숭이 훈계해야"<br />인터넷서 돌던 강경론, 관영 언론으로까지 확산</h4> <p> <script type="text/javascript">// <![CDATA[ document.title = "''남중국해 국지전 필요'' 中서 전쟁론 급부상"+" | Daum 미디어다음"; viewToday('auto'); // ]]></script> </p> <p>중국 내에서 남중국해 영유권 문제를 놓고 갈등을 빚고 있는 베트남 , 필리핀 과 과감하게 국지전(局地戰)을 벌여야 한다는 강경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베트남과 필리핀이 미국·인도·일본 등과 군사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남중국해 상에서 유전 개발에 나서는 것을 방치할 수 없다는 것이다. 서륙(西陸)망 등 군사전문 인터넷 포럼에서 거론되기 시작한 이런 국지전론은 관영 언론으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br /><br />공산당 기관지 <a class="keyword" title="" onmouseover="UI.toolTip(event)"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C0%CE%B9%CE%C0%CF%BA%B8&nil_profile=newskwd&nil_id=v20111001032504166" target="new"><span style="color: #0b09cb;">인민일보</span></a>의 자매지인 환구시보(環球時報)는 지난달 27일자에 남중국해에서 무력 사용을 주장하는 기고문을 게재했다. 민간 싱크탱크인 중화에너지기금위의 룽타오(龍韜) 전략분석가는 이 기고문에서 "남중국해로 전장을 제한해 가장 소동을 피우는 베트남과 필리핀을 공격해 다른 나라에 살계경후(殺鷄儆�P·닭을 죽여 원숭이를 훈계한다는 뜻)의 교훈을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남중국해는 중국 관련 시설이 없어 최적의 전쟁터"라면서 " 미국 의 이라크 전쟁이나 리비아 공습을 배울 필요도 없이 반드시 승리하는 전쟁이 될 것"이라고 했다. 또 "소규모 전쟁을 통해 침략 행위를 확실히 차단하는 것이 더 큰 전쟁을 막는 길"이라면서 "학자들은 미국의 개입을 우려하지만, 반테러 전쟁에서 발을 빼지 못한 미국은 남중국해에서 제2의 전쟁을 벌일 힘이 없다"고 썼다. <br /><br />군사학자인 니르슝(倪樂雄) 상하이 정법학원 교수는 이에 대해 "대륙 내 일부 인사들의 이런 주장이 관영 언론에까지 나온 것은 이례적인 일"이라면서 "군사전문가들은 중국이 그런 전쟁을 수행할 능력이 있음을 알고 있지만, 중국 지도부는 여전히 용기와 결단력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br /><br />홍콩 의 친중국계 신문인 대공보(大公報)도 지난달 30일 평론에서 2008년 러시아 의 <a class="keyword" title="&gt;검색하기" onmouseover="UI.toolTip(event)"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B1%D7%B7%E7%C1%F6%BE%DF&nil_profile=newskwd&nil_id=v20111001032504166" target="new"><span style="color: #0b09cb;">그루지야</span></a> 무력 침공을 예로 들며 강력한 군사적 위협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신문은 "러시아는 국제법 위반 논란에도 불구하고 그루지야와 일전을 불사함으로써 20년을 괴롭혀온 남부 변경 문제를 말끔히 해결했다"면서 "러시아가 핵심이익을 지키기 위해 내린 결정과 그 방식, 수단을 깊이 생각해야 한다"고 썼다. 러시아는 <a class="keyword" title="&gt;검색하기" onmouseover="UI.toolTip(event)"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BA%A3%C0%CC%C2%A1%BF%C3%B8%B2%C7%C8&nil_profile=newskwd&nil_id=v20111001032504166" target="new"><span style="color: #0b09cb;">베이징올림픽</span></a>이 열린 지난 2008년 8월 그루지야 내 친러시아 자치세력인 남오세티야 와 압하지야 보호를 위해 그루지야를 침공, 5일 만에 그루지야 국토 절반을 점령하는 일방적 승리를 거뒀다. <br /><br /></p> <div style="font-size: 10pt;"> </div>
<div style="font-size: 10pt;"><br /> <p>한인 소식을 모아 들려 드립니다. : 2011년 9월 30일자</p> <p> </p> <p>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신 후</p> <p> </p> <p>듣기 버튼을 누르세요.</p> <p> </p> <p><a href="http://gokcn.net/bbs/board.php?bo_table=board4">http://gokcn.net/bbs/board.php?bo_table=board4</a></p> <p> </p> <p>감사합니다.</p> </div>
<div style="font-size: 10pt;"><br />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lang="EN-US"><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도쿄<span lang="EN-US">=</span>연합뉴스<span lang="EN-US">) </span>이충원 특파원<span lang="EN-US"> = </span>일본과 필리핀이 중국의 해양 진출을 염두에 두고 해상 방위<span lang="EN-US">•</span>안보 연계를 강화할 방침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span lang="EN-US"> </span>보도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lang="EN-US"><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양국은 이르면 연내에 해상자위대와 필리핀 해군의 정기 협의를 시작해 양국 군 정상이 상호 방문할 예정이다<span lang="EN-US">. </span>필리핀의 연안 경비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협력도 추진한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lang="EN-US"><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양국은<span lang="EN-US"> 27</span>일 도쿄에서 열리는 노다 요시히코<span lang="EN-US">(</span></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serif'; mso-bidi-font-family: 바탕;">野田佳彦</span><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lang="EN-US">) </span>총리와 베그니노 아키노 필리핀 대통령 간의 정상회담에서 이같은 내용에 합의하고<span lang="EN-US">, </span>양국의 차관급 협의를<span lang="EN-US"> '</span>전략협의<span lang="EN-US">'</span>로 격상시킨다는 내용을 공동성명에 명기할 계획이라고 신문은 전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lang="EN-US"><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석유를 중동에 의존하는 일본은 중국과 필리핀 등이 영유권 분쟁 중인 남중국해를 해상수송로로 중시하고 있다<span lang="EN-US">.</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lang="EN-US"><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lang="EN-US"><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일본은 남중국해 분쟁에서 필리핀의 편을 들면서 동중국해 센카쿠<span lang="EN-US">(</span></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serif'; mso-bidi-font-family: 바탕;">尖閣</span><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lang="EN-US">)</span>열도<span lang="EN-US">(</span>중국명 댜오위다오<span lang="EN-US"><</span></span><span style="font-family: '바탕','serif'; mso-bidi-font-family: 바탕;">釣魚島</span><span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span lang="EN-US">></span>와 주변 섬<span lang="EN-US">) </span>영유권 분쟁에서 도움을 받으려는 의도도 있다고 신문은 풀이했다<span lang="EN-US">.</span></span></p> </div>
<div style="font-size: 10pt;"><br /> <p>필리핀 뉴스 브리핑 : 2011년 9월 30일자</p> <p> </p> <p>필리핀의 뉴스를 브리핑 해 드립니다.</p> <p> </p> <p>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신 후 듣기 버튼을 눌러 주세요</p> <p> </p> <p><a href="http://gokcn.net/bbs/board.php?bo_table=board3">http://gokcn.net/bbs/board.php?bo_table=board3</a></p> <p> </p> <p>감사합니다.</p> <p> </p> <p>(아이폰으로의 방송도 시험 중에 있습니다. 아이폰으로 gokcn.net으로 가셔서 Live 선택 후 플레이 버튼을 누르셔요. 좀더 편리하게 들으실 수 있도록 어플도 개발 예정입니다)</p> </div>
<div style="font-size: 10pt;"><br />서울=뉴시스】이현정 기자 = 필리핀에서 우리 국민 허모(52)씨가 피격을 당해 사망했다고 29일 외교통상부가 밝혔다. <br /><br />허씨는 이날 오전 8시30분(현지시간) 필리핀 동부 메트로마닐라 퀘존시에서 필리핀인으로 추정되는 오토바이를 탄 2명의 남성에게 총격을 당해 사망했다. <br /><br />사건 발생 당시 허씨는 차량 안에 있었으며, 범인들은 차량 유리를 통해 오른쪽 귀 부위와 오른팔에 근접사격을 가하고 도주했다. <br /><br />허씨는 필리핀에서 철광석 광산을 운영한 것으로 전해졌다. <br /><br />외교부 관계자는 "현재까지 범행 동기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br /><br />주(駐)<a class="keyword" title="&gt;검색하기" onmouseover="UI.toolTip(event)"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C7%CA%B8%AE%C7%C9+%B4%EB%BB%E7%B0%FC&nil_profile=newskwd&nil_id=v20110929185019327" target="new"><span style="color: #0b09cb;">필리핀 대사관</span></a> 사건사고 담당 영사는 사건 접수 즉시 현장에 출동, 필리핀 경찰의 현장점검을 참관하고 철저한 수사 및 신속한 범인검거를 요청했다. <br /><br />또 피해자 가족을 위로하고 유가족의 장례절차를 지원했다. <br /><br />주필리핀 대사관은 우리 국민을 대상으로 한 강력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필리핀 경찰과 합동으로 분기별 치안대책 회의를 개최, 신속 대응이 가능하도록 협력채널을 가동하고 있다. </div>
<div style="font-size: 10pt;"><br />(대구=연합뉴스) 홍창진 기자 = 경북도는 필리핀 최대 국영방송사인 NBN이 '경북 다큐멘터리'를 방영했다고 29일 밝혔다. <br /><br />NBN은 지난 28일 황금 시간대인 오후 7시부터 50분간 '태양이 떠오르는 나라, 한국 경상북도 프롤로그'라는 다큐멘터리를 필리핀 전역에 방영하고 경북의 문화와 전통 등을 집중 소개했다. <br /><br />NBN은 다큐멘터리에서 "6.25 전쟁의 폐허 속에서 세계 10대 경제강국으로 떠오른 대한민국 중심에 경북도가 있다"면서 "경북은 신라ㆍ가야ㆍ<a class="keyword" title="&gt;검색하기" onmouseover="UI.toolTip(event)"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C0%AF%B1%B3+%B9%AE%C8%AD&nil_profile=newskwd&nil_id=v20110929173320609" target="new"><span style="color: #0b09cb;">유교 문화</span></a>의 발상지로 고대 삼국을 통일한 천년 도읍지를 보유하고 있고 석굴암ㆍ<a class="keyword" title="&gt;검색하기" onmouseover="UI.toolTip(event)"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C3%B7%BC%BA%B4%EB&nil_profile=newskwd&nil_id=v20110929173320609" target="new"><span style="color: #0b09cb;">첨성대</span></a> 등 앞선 과학기술력을 갖췄다"고 밝혔다. <br /><br />또 <a class="keyword" title="&gt;검색하기" onmouseover="UI.toolTip(event)"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BB%F5%B8%B6%C0%BB%BF%EE%B5%BF&nil_profile=newskwd&nil_id=v20110929173320609" target="new"><span style="color: #0b09cb;">새마을운동</span></a>은 경북에서 시작, 전국으로 확산해 근대화를 이끈 정신운동이며 오늘날 저개발국에 수출돼 산업화와 근대화에 공헌하고 있다고 알렸다. <br /><br />이어 <a class="keyword" title="&gt;검색하기" onmouseover="UI.toolTip(event)"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B0%E6%C1%D6%BC%BC%B0%E8%B9%AE%C8%AD%BF%A2%BD%BA%C6%F7&nil_profile=newskwd&nil_id=v20110929173320609" target="new"><span style="color: #0b09cb;">경주세계문화엑스포</span></a>는 천년고도 경주의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세계 40여개국의 문화를 선보이는 문화 올림픽이라고 전했다. <br /><br />이와 함께 방송사는 경북과 필리핀의 우호협력 관계를 보도하고 그 사례로 새마을운동 봉사자 파견, 필리핀 잠발레주(州)와 자매결연 추진 등을 제시했다. <br /><br />경북도 권오승 공보관은 "지난 8월 터키 국영방송(TRT)에 이어 필리핀 방송사가 시청률이 가장 높은 시간에 경북을 소개했다"며 "'글로벌 경북'을 앞당기는 계기가 마련됐다"고 말했다. <br /><br /></div>
<div style="font-size: 10pt;">【마닐라=신화/뉴시스】정의진 기자 = 필리핀을 강타한 제17호 태풍 네삿(Nesat)의 영향으로 28일(현지시간) 현재까지 35명이 숨지고 60만 가구가 대피했다. <br /><br />현지 재난당국에 따르면 지난 2일 동안 필리핀을 강타한 태풍 네삿으로 최소 35명이 목숨을 잃었다. 부상자는 정확히 집계되지 않았으나 34~45명이 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손상된 가옥은 993개에 달한다. <br /><br />2280만 달러(약 269억원) 상당의 재산 피해도 발생했다. <br /><br /> <div class="GS_conC" style="width: 500px;"> <p class="ph"><img src="http://i2.media.daumcdn.net/photo-media/201109/29/newsis/20110929135231332.jpg" alt="" width="500" /></p> </div> 당국은 "현재까지 집계된 사망자 수는 35명이지만 향후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며 "구조대원들이 현장에서 복구작업에 열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br /><br />이와 관련 필리핀 보건국은 "피해 지역에 이미 의약품을 제공했다"며 "의료진도 파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br /><br />현지 사회복지국은 대피소에 6만6360달러(약 7840만원) 상당의 식량과 긴급구호품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br /><br /><br /></div>
<div style="font-size: 10pt;">【서울=뉴시스】유세진 기자 = 중국이 최근 남중국해와 동중국해에서 영유권 주장으로 분쟁을 일으키고 있는 것은 미국의 권위에 대해 도전하고 싶은 욕망 때문이며 이로 인한 긴장은 앞으로 더욱 고조될 것이라고 피델 라모스 전 필리핀 대통령이 28일 말했다. <br /><br />워싣턴을 방문 중인 라모스 전 대통령은 중국과 미국은 현재 남중국해와 동중국해을 둘러싸고 섀도우 복싱을 하고 있는 셈이라고 말했다. 중국은 남중국해에서는 필리핀, 베트남 등과 또 동중국해에서는 일본과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다. <br /><br />1992년부터 1998년까지 필리핀 대통령을 지낸 라모스는 이날 헤리티지재단에서 연설을 통해 "내가 볼 때 중국의 목표는 이 지역에 대한 미국의 자유로운 접근을 제한하고 필리핀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미국의 안보 제공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려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br /><br />그는 또 서방 동맹국들의 전략적 지배를 타파하려는 것이 중국의 의도이기 때문에 남중국해에서의 긴장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br /><br />라모스 전 대통령은 그러나 아직까지는 미국이 군사력 면에서 중국을 압도하기 때문에 군사적 충돌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며 아시아 지역 각 국 정부들은 군비 확충보다는 빈곤 퇴치 같은 부문에 더 많은 예산을 투입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br /><br /><br /></div>
<div style="font-size: 10pt;">(마닐라 AP=연합뉴스) 필리핀을 강타한 제17호 태풍 '네삿(Nesat)'으로 최소한 16명이 숨지고 11만명이 대피하는 등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br /><br />필리핀 기상당국은 27일(현지시간) 새벽 시속 150km의 강풍을 동반한 태풍 네삿이 필리핀 동부를 강타했으며, 시간당 최고 250mm의 비를 뿌리며 마닐라 북부의 내륙지역을 향해 이동했다고 밝혔다. <br /><br />태풍 피해는 인구 1천200만의 수도 마닐라에 집중됐다. <br /><br />정부 재난청에 따르면 이날 주택의 벽이 무너져 4명이 숨지고, 쓰러진 나무에 깔려 여자아이 4명과 영아 1명이 사망하는 등 인명 피해 대부분이 마닐라에서 발생했다. <br /><br />27일 저녁까지 마닐라 도심 대부분은 정전 상태였으며, 휴대전화 통신과 교통이 마비됐다. <br /><br />길거리의 사람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세찬 비가 쏟아지는 가운데 마닐라 도심의 6차선 도로는 흙탕물이 흐르는 강으로 변했다. <br /><br />군인과 경찰은 침수된 저지대 주민 수천명을 대피시키기 위해 바쁘게 움직였다. <br /><br />마닐라병원측은 물이 목까지 차올라 환자들을 더 높은 층으로 이동시켰으며, 발전기가 물에 잠겨 전기가 끊겼다고 밝혔다. <br /><br />이날 필리핀 침수피해를 당한 <a class="keyword" title="&gt;검색하기" onmouseover="UI.toolTip(event)"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C1%F5%B1%C7%B0%C5%B7%A1%BC%D2&nil_profile=newskwd&nil_id=v20110928101428555" target="new"><span style="color: #0b09cb;">증권거래소</span></a>와 미국 대사관은 업무를 중단했다. <br /><br />기상당국은 계절성 장맛비가 한차례 필리핀을 훑고 지나간 직후 태풍 네삿이 상륙해 상황이 더 나빠졌다며 "대지가 이미 물로 흠뻑 젖어있었기 때문에 그 후에 내린 비는 모두 홍수가 됐다"고 말했다. <br /><br />태풍은 27일 밤늦게 남중국해를 거쳐 중국 남부로 북상할 것으로 예상된다</div>
<div style="font-size: 10pt;"><br />【케손(필리핀)=AP/뉴시스】제17호 태풍 네삿(Nesat)이 필리핀을 강타한 지 하루가 지난 28일(현지시각) 필리핀 케손의 한 대피소에서 주민들이 식기를 들고 구호음식을 받기 위해 줄 서 있다. 경찰은 이번 태풍으로 최소 20명이 숨졌다고 밝혔다. <br /><br /><br /> <div class="GS_conC" style="width: 501px;"> <p class="ph"><img src="http://i2.media.daumcdn.net/photo-media/201109/28/newsis/20110928180100415.jpg" alt="" width="501" /></p> </div> </div>